매일신문

기술에 밀려나는 노동력…지능형 CCTV 도입 놓고 서구청-노조간 인력감축 갈등

서구청 “스마트관제시스템 도입시 인력감축 불가피”
노조 “4월까지 정규직 전환 계획 확정 않으면 총파업”

10일 대구 서구청 앞에서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대구지역일반노동조합원들이 CCTV관제사 정규직 전환을 위한 파업 돌입 및 총력 투쟁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10일 대구 서구청 앞에서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대구지역일반노동조합원들이 CCTV관제사 정규직 전환을 위한 파업 돌입 및 총력 투쟁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대구 서구청과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대구지역일반노조가 CCTV관제사 인력감축을 놓고 팽팽히 맞서고 있다. 대구시와 구·군이 도입 중인 '지능형 스마트관제시스템'이 새로운 노사 갈등(매일신문 2018년 12월 19일 자 8면)으로 표출되는 형국이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이 수행한 '대구 CCTV 통합관제센터 발전 방안' 용역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관제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관제사 1인당 400대까지 관제가 가능하다. 점진적인 인력 감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러나 노조 측은 정부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에 맞춰 관제사의 고용을 보장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서구청 측은 11일 오후 예정된 3차 회의에서 외부 용역업체 소속 CCTV관제사 20명 모두를 정규직 전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달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현재 서구청은 20명의 관제사가 총 834대의 CCTV를 관리하고 있다.

이에 민주노총은 10일 오전 서구청 앞에서 CCTV관제사지회 서구분회와 노조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을 열고 "이달 내로 CCTV관제사의 정규직 전환 시기와 대상을 확정하라"며 "그렇지 않을 때는 전면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서구청은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은 의무 사항이 아니며, 협의를 통해 결정할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서구청 관계자는 "열악한 서구 재정을 감안하면 다른 지자체와 같은 기준으로 인력을 채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이미 스마트관제시스템을 도입한 경주시의 경우 44명에서 24명으로 인원을 줄였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