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가계별 소득 격차가 점차 벌어지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나쁜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1일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가계금융복지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연간 소득분배지표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지표는 가계소득 상위 10%를 가르는 값을 하위 10%를 가르는 값으로 나눈 '10분위수 배율', 가계소득 상위 10% 인구의 소득점유율을 하위 40%의 소득점유율로 나눈 '팔마비율', 중위소득 60% 기준 상대적 빈곤율 등이다.
OECD는 국가별 소득 불평등을 재는 주요 지표로 10분위 수 배율을 주로 활용하는데 한국은 2017년 5.79배로 2016년(5.73배)에 비해 소폭 올라 소득분배 악화를 보였다. 한국의 10분위 수 배율은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32위에 그쳤다. 멕시코(7.2매), 칠레(7배), 미국(6.3배)이 한국보다 소득격차가 컸고 리투아니아(5.8배)가 한국과 거의 같았다.
팔마비율은 2017년 1.44배로 2016년 1.45배에 비해 소폭 개선됐다. 중위소득 60% 이하의 상대적 빈곤율도 2017년 23.2%로 2016년(23.7%)에 비해 소폭 개선됐다. 다만 수치상 개선에도 OECD 회원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팔마비율 기준 소득분배 격차는 30위, 중위소득 이하 상대적 빈곤율은 29위로 OECD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