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와 계열사 갑질에 협력업체 도산위기에 내몰려

협력업체 대표 "말 못해서 그렇지, 업체들 고통 엄청나다"

포스코그룹사 협력업체들이 포스코그룹사의 일방적인 설계 변경이나 추가 작업 요구, 추가 비용 미지급 등으로 도산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상당수 포스코그룹사 협력업체들은 그룹사가 계약 후 일방적인 설계 변경이나 추가 작업 지시로 협력업체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그룹사의 요구대로 업체가 추가 비용을 들여 공사를 하고도 그룹사 눈치가 보여 적극적으로 추가 비용 요청을 못하거나 해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적잖다는 것이다.

포항에 본사를 둔 A업체는 현재 포스코와 소송 중이다. 2017년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71억원 짜리 계약을 하고 작업을 하던 중 포스코의 공기 단축 요구를 받아들여 야간, 휴일 없이 일했지만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을 주지 않아서다.

처음엔 그해 6월 30일이 준공일이었지만 포스코 요청으로 4월 30일로 앞당겼고, 야간·휴일 작업에 따른 추가 비용 12억9천만원을 약속받았지만, 공사 후 포스코가 입장을 확 바꿨다는 게 이 업체의 얘기다.

A업체에 따르면 포스코가 '공사기간이 두 달 정도 줄어 공사 비용도 그만큼 줄었기 때문에 이를 새로 발생한 야간·휴일 수당을 대체하면 될 것'이라며 추가 비용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A업체 관계자는 "포스코가 ' 추가로 줄 돈은 없다'고 하면서 나중에 일을 더 받는 형태로 손해를 메우던지 소송을 통해 돈을 받아 가라고 하더라"며 "새로운 일을 받아도 이런 식이라면 아무 의미가 없는 만큼 소송을 진행하긴 했는데, 이렇게 시간이 흘러가면 우리 회사는 결국 망할 수 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포스코강판도 최근 지역업체를 도산 위기로 몰고 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포스코강판은 지난 2017년 포항본사 내 컬러폐수처리 토건공사를 진행하면서 지반 강화를 위해 파이프를 땅에 박았다. 이 과정에서 애초 계획했던 콘크리트 재질의 파이프를 강도가 더 센 강관파이프로 변경했고, 이에 7천만원에 불과했던 공사비가 3억3천만원으로 늘어났지만 추가 비용을 주지 않았다.

업체 관계자는 "애초 콘크리트 시공을 하다 추가로 비용이 더 들었다면 당연히 우리가 물어야겠지만 포스코의 요구에 따라 바뀐 재료와 공법을 적용해 추가 비용이 발생했다면 포스코가 부담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하소연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강판은 "강관으로 시공해도 공법상 장비비용까지 고려하면 애초 콘크리트로 시공과 금액이 같아지기 때문에 돈을 더 줄 이유가 없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