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짐 로저스 "일본, 통일 한국과 경쟁 안된다"

"북한 지하자원 풍부, 남한 세계자본 활용할 네트워크, 경험과 능력"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아난티코브 펜트하우스에서 열린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아난티코브 펜트하우스에서 열린 '한일터널연구회 조찬회'에서 세계 3대 투자가로 불리는 짐 로저스가 참석자로부터 선물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와 함께 세계 3대 투자가로 불리는 짐 로저스가 "통일된 한국은 세계가 주목하는 잠재력이 큰 나라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짐 로저스는 22일 오전 부산 기장군 아난티코브 펜트하우스에 열린 '한일터널연구회' 조찬회에 참석해 "북한은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저렴하지만 교육열이 높고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남한에는 자본과 생산시설, 세계자본을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와 이를 경영해본 경험·능력도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는 일본이라는 또 다른 잠재력이 풍부한 나라를 사랑한다"면서도 "(통일 한국이 되면) 일본 입장에서는 달갑기만 한 상황은 아니다. 일본은 통일 한국과 경쟁이 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통일 한국으로 남북의 철도가 연결되면 세계운송에 변화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조찬회 주제인 해저터널과 관련해서도 "통일이 되면 더 관심이 가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이날 해저터널연구회 고문으로 추대됐다.

그는 통일 한국을 위해 국가나 지자체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질문에 "제가 미국인이지만, 미국 정부를 향해 목소리를 높이세요"라면서 "삼성 등 세계적 기업들이 통일 한국에 대비해 테스크포스를 만들어 연구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 여러분들도 같은 준비를 하셔야 한다. 저 또한 투자기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가 북한 개발은행을 유치하려는 것과 관련해서는 "북한은 모든 게 부족하고 개발을 위한 자금이 필요하다"면서 "이렇게 좋은 아이디어(북한개발은행)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는 부산이 글로벌 금융허브가 되기 위해 지난 10년간 노력해왔다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부산과 같은 잠재력이 큰 도시 왜 성공하지 못했는지 의아하다"라면 "한국은 인종적, 문화적으로 단일화됐지만 세계인 관점에서는 고립으로도 볼 수 있다. 외국인 유입정책을 통해 자본, 금융 도시로서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