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해 해저 활성단층 조사·해일 맞춤형 대비책 시급

수심 깊은 동해, 지진해일 발생의 최적 요소
규모 7.0 지진 우려되지만 해저 활성단층은 '깜깜이'

22일 오전 5시 45분 동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3.8 지진의 발생 위치. 기상청 제공
22일 오전 5시 45분 동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3.8 지진의 발생 위치. 기상청 제공
22일 발생한 규모 3.8 지진의 진도 상세 정보. 진도 Ⅲ은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느끼며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리는 정도, 진도 Ⅱ는 조용한 상태나 건물 위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만 느끼는 정도다. 기상청 제공
22일 발생한 규모 3.8 지진의 진도 상세 정보. 진도 Ⅲ은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느끼며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리는 정도, 진도 Ⅱ는 조용한 상태나 건물 위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만 느끼는 정도다. 기상청 제공

동해가 흔들리고 있다. 올 들어서만 규모 4 안팎의 지진이 세 차례나 발생했다. 동해상에 더 큰 해상 지진이 닥친다면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경고다.

그런데도 동해 해저 활성단층 조사는 깜깜이 상태로 남아 있다. 내륙 지진 가능성 대비는 물론 바다까지 범위를 넓혀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진해일 발생 최적 조건 '동해'

동해 해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힌다. 지진해일 발생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지진해일 발생 주요 조건으로 ▷규모 6.0 이상 지진 ▷1천m급 깊은 수심 ▷수직단층운동 등 세 가지를 꼽는다.

최근 규모 4 수준 지진이 빈번한 동해 해역은 2016년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5.0 지진에서 볼 수 있듯 규모 6~7의 대규모 지진도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 곳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또한 최대 수심이 2천m에 달하는 등 서·남해 해역과 비교가 안 되는 깊은 수심을 자랑하는 곳도 동해다. 수평보다 바닷물을 크게 일렁이게 하는 수직단층운동이 주로 지진을 일으키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일본처럼 큰 지진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17세기 지진이 자주 발생하다가 400여 년 동안 조용했다"며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주변 지진 발생 숫자가 늘고 있어 지진 공백기가 활성화기로 되는 시점으로 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한반도 주변에 쌓인 응력이 해소되려면 100~200년 걸릴 수 있으며 최대 7.0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며 "장소는 내륙만이 아니고 바다일 수도 있다"고 했다.

◆'깜깜이' 해저 활성단층

동해에서 지진이 잇따르고 있지만, 해저에서 살아 꿈틀거리는 활성단층 연구는 더디기만 하다. 과거 해저단층에 대한 연구는 남동해안이나 백령도 주변 등 일부에서만 이뤄졌고, 정부는 연안의 개략적인 지질위험요소 정도만 파악하고 있다.

지진 규모를 예측하려면 해당 지역의 구조적 위치와 단층 규모, 발생빈도 등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의 관심은 최소한에 그친다. '내륙 단층 조사가 시급해 바닷속까지 들여다보기 힘든 현실' 때문이다.

정부는 2017년 포항지진 발생 이후 마련한 지진방재 개선대책(2018년)에 해저 활성단층 지역 조사 계획을 반영했지만 조사 범위가 좁고 단층 조사도 이달에야 겨우 걸음마를 떼고 있다.

손 교수는 "활성단층 여부를 확인하려면 퇴적층을 정밀하게 들여다보는 탐사를 해야 하는데 육상보다 훨씬 많은 비용이 든다. 또 장기간의 데이터 축적이 필수"라며 "이번 동해 지진을 계기로 정부의 관심은 물론 지속적인 사업비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동해안 지진해일 발생을 가정한 피해 예방 대책 재점검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북도 재난 관련 부서 한 관계자는 "최근 동해에 지진이 잇따르는 만큼 해안 지역에 해일경보를 실제 울리고 주민이 대피소까지 이동해보며 문제점을 살피는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