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K리그에 완연한 봄이 왔다. 이제는 프로야구 인기도 위협할 정도다. K리그1(1부리그)와 K리그2(2부리그) 모두 흥행몰이 중이다.
23일 한국프로축구연맹에 따르면 올 시즌 K리그1 8라운드를 마친 현재 평균 유료관중은 8천62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평균관중과 인터넷 중계 동시접속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라운드 종료 시 평균관중 5천789명보다 48.9%가 늘어난 수치다.
7라운드를 치른 K리그 2에서도 지난해 같은 기간 평균관중은 1천755명이었으나 올해는 43.5%가 증가한 2천519명이 경기장을 찾았다.
인터넷 중계 동시접속자 수도 큰 폭으로 늘었다.
K리그1의 경우 지난 7라운드까지 경기당 평균 동시접속자 수는 2만939명이었다. 작년 7라운드까지 경기당 평균 동시접속자 수는 1만4천122명. 올해 48.2%가 증가한 셈이다. K리그2 동시접속자 수 역시 지난해 5천469명에서 올해 7천451명으로 36.2%가 늘어났다.
올 시즌 '대구DGB은행파크'에 새둥지를 튼 대구FC가 K리그 흥행 선봉에 서 있다. 지금까지 치른 4차례의 홈경기에서 모두 매진을 달성했다. 6만6천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종합경기장인 대구스타디움을 홈구장을 쓴 지난해 8라운드까지 홈에서 4경기를 치러 평균관중 4천101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1만3천석 규모의 신축 축구 전용구장인 DGB대구은행파크로 옮겨 시즌을 맞이한 올해는 K리그1 8라운드까지 4차례의 홈경기에 평균 1만1천236명의 관중이 들어찼다.
경기를 보기 위해 3~4시간 전부터 경기장에 찾아와 줄을 서고, 유니폼과 머플러 등 머천다이징 상품을 사려고 줄을 선 관중의 모습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대구는 올 시즌 현재 평균관중 수에서 전북 현대(1만4천217), FC서울(1만4천142명)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다. 시도민구단 중에서는 1위다.
대구FC 관계자는 "지난해 대표팀의 아시안게임 금메달 획득 등으로 축구에 대한 관심이 늘고, 올 시즌 초반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에서 K리그 팀들의 선전과 대구의 신축 홈구장 효과 등이 어우러진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특히 유료관중만 집계하는 상황에서 나타난 수치 변화라서 더욱 고무적이다.
K리그 평균관중은 2011년 1만1천635명에서 실관중 집계를 시작한 2012년에는 6천767명으로 거의 반 토막 났다. 이후 2017시즌까지 6천∼8천명에서 오르내리던 K리그 시즌 평균관중은 유료관중만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해에는 5천458명으로 더 줄었다. 실관중 집계 이후 최소 관중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