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취업자 중 월급이 200만원 이상인 근로자의 비율이 1년 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용직 근로자가 늘어났고, 임시·일용직은 줄어든 결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이하 10월 기준) 전체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2천27만3천명)의 월 임금 비율은 200만∼300만원(29.7%)이 가장 많았다. 이어 100만∼200만원(27.1%), 400만원 이상(16.8%), 300만∼400만원(16.3%), 100만원 미만(10.2%) 등의 순이었다.
특히 200만원 이상 비율은 62.7%로 4.4%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100만원 미만은 0.7%p,100만∼200만원은 3.7%p 각각 하락했다.
산업별로 보면 100만원 미만 비율은 농림어업(35.8%)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숙박·음식점업(28.7%),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2.9%) 등이 뒤를 이었다. 월 소득 100만∼200만원 비율은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46.8%)이 가장 높았다. 400만원 이상 고소득자 비율이 높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36.7%)과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36.2%) 등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대구의 경우 전체 취업자 124만4천명 중 자동차를 제외한 소매업이 11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음식점·주점업(10만 5천명), 교육서비스업(10만 2천명), 보건업(6만6천명), 도매·상품중개업(5만8천명) 등이 뒤를 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종사상 지위에 따르면 임금 수준이 높은 편인 상용직 근로자 수가 늘었고, 반대로 낮은 임금의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감소한 영향으로 월 200만원 이상 근로자 비율이 높아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