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통합신공항 필요성·발전방향 연구용역 추진

추경 예산에 1억5천만원 편성…항공수요·신공항 건설 규모 등 분석
공항추진TF 단장, 부지사로 격상

경북도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의 필요성과 발전 방향에 대한 상세 분석에 돌입한다. 이달 초 정부가 '연내 통합신공항 최종 부지 선정'을 약속하는 등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만큼 신공항 건설 규모 및 발전 방향, 활성화 방안 등을 미리 분석해둬야 한다는 판단이다.

도는 25일 "연구용역비 1억5천만원을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안을 도의회에 제출한 상태"라며 "다음 달 초 도의회에서 예산안이 통과되면 곧바로 업체를 선정, 연구용역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는 이르면 연내, 늦어도 내년 초에는 용역 결과가 나오도록 할 방침이다.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통합신공항을 통한 경북 발전방향 제시 ▷항공수요 예측 및 신공항 건설 규모 분석 ▷신공항 활성화 방안 도출 ▷배후신도시와 기존 산업 발전방향 제시 등을 할 예정이다.

또 ▷항공사 유치 방안 ▷신공항 건설·운영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 ▷공항 이전에 따른 경기부양 효과 등도 분석할 계획이다.

특히 군위군 우보면 단독후보지와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공동후보지 등 이전후보지의 특성을 각각 반영해 두 후보지 모두의 연구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통합신공항과 연계한 광역교통망 계획, 포항·예천·울진·울릉공항 등 도내 지방공항 활성화 방안도 함께 살펴볼 계획이다.

이 용역을 통해 '대구경북 항공수요 1천만 시대'에 맞는 비전을 찾고 통합신공항을 통한 경북 재도약의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는 게 도의 전략이다.

도는 연구용역과 함께 대규모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추진단(TF·가칭)'도 구성한다. 현재 건설도시국장(3급)이 맡고 있는 TF 단장을 행정부지사(1급)로 격상하고 그 아래 건설·경제·소통·지원분야 등 부서를 둘 예정이다. TF엔 공항 전문가, 공항 산업 종사 기업인, 공군 출신 인사 등 민간인으로 구성된 자문단도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도는 5월 초 출범을 위해 사전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 관계자는 "공항을 이전시키는 대구시만큼 공항을 받고 배후도시를 조성해야 하는 도의 업무도 상당히 많다"며 "TF 구성을 통해 신속한 통합신공항 건설에 더욱 힘을 쏟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