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대구시 신청사 성공 추진을 위한 협약이 파행을 맞은 이유는 '현 청사 이전 타당성 조사' 를 둘러싼 이견 때문이다.
류규하 중구청장과 오상석 중구의회 의장이 타당성 조사에 따른 현 위치의 어드밴티지를 주장한 반면 대구시 신청사건립추진 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는 250만 대구시민을 위한 신청사 건립과 공론화 과정에 초점을 맞춘 것.
이날 협약을 거부하고 동반 퇴장한 류 청장과 오 의장은 "중구는 사실 현 위치에 신축해도 본전이지만, 이전 및 유치를 확정하는 다른 구는 대박 중의 대박"이라며 "중구의 인구가 8만 명 미만이라는 점에서 중구의 생존권이 걸린 중대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100년 이상을 이어온 현 위치에 대해 타당성 조사 한 번 없다면 형평성에 맞지 않다"며 "만약 이전한다면 도심 공동화 대책과 도심 상권 활성화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태일 공론화위 위원장은 "(신청사 건립은 단순히 중구의 문제가 아니라) 250만 시민의 뜻을 묻는 것"이라며 "이 과정을 합리적으로 잘 이끌어가기 위해 시민들이 보다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토의·논쟁하는 공론민주주의 과정을 도입해 신청사 입지를 최종 결정하자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류한국 서구청장 역시 "(중구청의 입장에) 공감하지만 시청사라는 것은 중구 구민을 위한 청사는 아니다. 250만 대구시민, 350만 광역 대구권 심볼이 되는 청사"라며 "이번 입지 선정은 대구시민 전체에게 묻는 일련의 과정으로 좀 더 넓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영진 대구시장도 "서울시청도 현 위치에서 새로 지었고, 그때도 이전하자 말자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현 청사 타당성 용역은 없었다"며 "이런 방식은 세상 그 어디에도 없다. 전문가들에게 용역을 줘서 현 청사 말고 다른 위치에 지어야 한다면 중구청은 승복하겠냐"고 반문했다.
류 청장이 현 위치 이전 시 도심 공동화 대책과 도심 상권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한 것 역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권 시장은 "벌써 이전 그 이후를 얘기할 수 없다. (반대급부가 있다면) 유치 신청을 안 한 곳만 바보가 되는 것"이라며 "그래서 (대구시가) 입지가 선정될 때까지 일절 개입하지 않는다고 입장을 정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