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장] 반중 조홍감이

김노주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김노주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김노주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자식의 날은 없는데 어버이날이 따로 정해진 이유가 뭘까? 혹시 어른 중심의 사회이기 때문에 어른 중심으로 정한 탓일까? 아니다. 자식을 향한 어버이의 사랑은 거의 본능적인 것이며 365일 한결같아 따로 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 1년 내내 자식의 날인 것이다. 그러하다면 어버이날을 따로 정한 이유는 분명해진다. 자식들이 어버이께 보내는 사랑은 어버이의 그것 같이 본능적이지도, 한결같지도 않을 수가 있으므로 이날을 맞아서라도 다하지 못했던 효를 되새겨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장인은 11개월간 암 투병 끝에 어느 해 9월 1일 새벽 2시에 영면하셨다. 장인은 5남매를 두었는데 그중에 맏이가 가장 아픈 손가락이었다. 그 당시 필자의 처형인 맏이는 8여 년간 유학한 후 몇 해 동안 비정규교수를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해 여름, 다행히도 모 국립대 교수 공채를 통과하여 9월 1일 임용을 앞두고 있었고 처형은 그 대학이 있는 도시에 머물고 있었다. 소식을 들은 처형은 미처 임명장도 받지 못한 채 달려와야만 했다. 맏이가 정규직 교수가 되는 모습을 지켜보고자 했던 간절한 기원이 그분 생의 마지막을 견디게 하는 힘이었으며 임용이 예정된 당일 새벽에는 힘이 부쳐 운명하신 것이다. 이것이 한결같은 어버이의 마음이다.

어버이는 자식을 마음속에 품고 살지만 자식들은 생업에 쫓겨 그러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효를 행하려 할 때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나타내는 '풍수지탄'(風樹之歎), 즉 '바람과 나무의 탄식'이라는 말이 회자하는 것 같다. 한시외전에 나오는 말로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문장에서 유래했다.

풍수지탄의 회한을 가장 절실하게 나타낸 시조는 노계 박인로가 그의 나이 마흔 하나였던 1601년에 지은 '조홍시가'(早紅柹歌)의 첫 수이다. 쟁반에 담긴 일찍 잘 익은 홍시를 부모님께 가져다 드리고 싶지만 이미 세상을 떠나고 안 계셔서 그럴 수 없음을 한탄하는 시조이다.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와도 뵈이ᄂᆞ다/ 유자 아니라도 품엄즉도 ᄒᆞ다마ᄂᆞᆫ/ 품어가 반길 사람 없으니 그걸 셜워 ᄒᆞᄂᆞ이다./

예전엔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시조였지만 나이가 들수록, 부모님이 고인이 된 후로는 더욱 절실하게 와 닿는다. 좋은 음식을 먹을 때, 멋진 경치를 볼 때, 문득 문득 떠오르는 모습을 어찌할 수가 없다. 부모 돌아가셔 산에 묻는다는 말도 다 거짓이더라. 내 아버지는 열일곱 해 전, 어머니는 열세 해 전에 돌아가셨지만, 내 가슴에 묻혀 기쁠 때나 슬플 때나 빙긋이 미소 지으며 떠오르더라. 갚아드리지 못한 은혜가 한이 되어 효의 대명사인 노래자의 옷을 입고 덩실덩실 춤이라도 추고 싶지만 풍수지탄만 메아리가 되어 울릴 뿐이더라.

노계는 조홍시가 세 번째 수에서 부모가 늙어 감을 다음과 같이 탄식하였다. /수만 근 쇠를 늘려 길게 길게 노끈을 꼬아/ 구만리 먼 하늘에 가는 해를 잡아매어/ 북당의 머리 흰 양친 더디 늙게 하리다./ 어느 누가 세월을 비껴갈 수 있겠는가? 오는 어버이날, 공경하는 마음으로 찾아뵙고 무고하게 지내고 있음을 보여드리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