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민의 발' 대구 시내버스 15년만에 멈추나… '찬성 96.9%' 파업 가결

3천125명 중 2천824명 투표 참여… 2천737명 '찬성'
14일 자정까지 경북지노위 2차 쟁의조정 타결 못하면
업체 26곳 중 22곳 노조 15일 오전 4시부터 일제 파업
대구 노사 합의 봐도 상급 단체 결정 따라 파업 가능성도

한국노총 소속 전국 노선버스 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를 앞둔 7일 대구 한 시내버스에
한국노총 소속 전국 노선버스 노조가 파업 찬반 투표를 앞둔 7일 대구 한 시내버스에 '교통복지 중앙정부가 책임져라'는 피켓을 부착한 채 운행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압도적 찬성률로 오는 15일 총파업 참여를 결의하면서 2004년 총파업 이후 15년 만에 '서민의 발'이 묶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이하 자동차노련) 대구버스노조는 지난 8일 오전 4시부터 치른 조합원 대상 파업 찬반투표 결과 찬성률 96.9%로 파업 참여가 가결됐다고 9일 밝혔다. 재적 조합원 3천125명 중 2천824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2천737명이 파업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는 79명, 무효 8명, 기권 301명 등이었다.

이에 따라 14일로 예정된 경북지방노동위원회의 2차 쟁의조정에서 노사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대구 시내버스 업체 26곳 가운데 22곳의 노조가 15일 오전 4시를 기해 일제히 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노조 측은 대구시 전체 가용 차량 1천617대 중 약 80%에 달하는 1천299대가 운행을 중단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2004년 준공영제 도입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인 뒤 15년만에 '버스 대란'이 예고된 것.

8일 오후 대구 수성구 한 버스회사 차고지에서 버스운전 기사들이 파업 찬반 투표를 하기 위해 용지를 받고 있다. 주요 쟁점은 주 52시간 근무에 따른 손실임금 보전과 정년 연장 등이다. 과반수가 찬성하면 15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kyjmaeil@imaeil.com
8일 오후 대구 수성구 한 버스회사 차고지에서 버스운전 기사들이 파업 찬반 투표를 하기 위해 용지를 받고 있다. 주요 쟁점은 주 52시간 근무에 따른 손실임금 보전과 정년 연장 등이다. 과반수가 찬성하면 15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kyjmaeil@imaeil.com

노사는 주 52시간제 도입에 따른 임금 보전과 정년 2년 연장 등의 문제에 대해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노조는 ▷주 52시간제를 도입하면 10%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운전기사의 임금을 이전 수준으로 보전 ▷정년을 기존 61세에서 63세까지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 측은 재정을 이유로 탄력근무제 도입 등 대안을 찾자는 입장이다.

아울러 상급 단체인 자동차노련은 환승할인제 등으로 발생하는 손실을 중앙정부가 보전해 줄 것도 요구하고 있지만, 국토교통부는 노선버스 업무가 지방자치단체 소관이라는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전세버스 수요가 많은 시즌이라 만약 파업할 경우 기존 시내버스 운행 대수의 40~50% 정도만 투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전국적으로 파업이 예고돼 있어 타 지역의 관광버스를 끌어오는 것도 불가능하다. 관용 버스 등 가능한 모든 차량을 동원해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