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북녘의 밤

조향래 논설위원
조향래 논설위원

'아하, 무사히 건넜을까, 이 한밤에 남편은, 두만강을 탈없이 건넜을까?' 일제의 식민지 노예로 전락한 우리 민족의 애환과 비애를 극적으로 형상화한 김동환의 장편 서사시 '국경의 밤'은 이렇게 어두운 막을 연다. 작품의 무대가 깊은 밤 두만강변이다. 산천이 어둠에 휩싸인 국경의 밤은 곧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을 웅변하며 한 줄기 빛이라도 희구하는 민족의 염원을 머금었다.

소설이나 시 작품 속에서는 깜깜한 밤을 가리켜 '칠흑 같은 밤'이라는 표현을 즐겨 쓴다. 검고 윤기 있는 머리카락을 일러 '칠흑 같은 머리카락'이라고도 한다. 어두운 밤이 있어야 달빛이 교교하고 별빛은 영롱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오늘날 도시의 밤은 너무 밝아서 탈이다. 이른바 불야성(不夜城)이다. 밤낮이 따로 없다.

인공위성에서 열화상 기법으로 촬영한 지구의 밤 풍경은 빈부의 격차를 극명하게 드러낸다. 잘사는 나라들은 캄캄해야 할 밤이 너무 밝아서 문제가 된다. 수컷 반딧불이는 밤이 어두울수록 암컷에게 자신의 존재를 잘 드러낼 수 있다. 부엉이와 올빼미는 밤이 되어야 먹이 활동을 벌이며 새끼들을 키운다. 맹금류의 공격을 피해 밤중에 움직이는 약한 동물도 많다.

그런데 자연의 질서를 역행하는 강렬한 야간 인공조명이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다. 이제 곧 도시의 매미들은 밤낮 구별을 못하고 울어댈 것이다. 인간이 만들어놓은 빛 공해가 소리 공해로 되돌아오는 것이다. 환한 밤은 인간의 신진대사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사람을 포함한 모든 생물은 밝은 태양이 생존의 필수조건이지만, 어두운 밤도 필요하다.

그런데 북한의 밤은 빛이 너무 없다. 칠흑 같은 밤이다. 위성사진을 보면 북녘은 평양을 빼고는 암흑천지이다. 마치 남한 땅이 섬처럼 느껴질 정도이다. 최근 어느 데이터 분석 업체가 야간 위성사진에 찍힌 '불빛'을 토대로 경제 규모를 추정했는데, 북한의 1인당 국내총생산은 1천400달러였다. 세계 10대 빈곤국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그래서 한 줄기 빛을 찾아 탈북을 기도하는 주민이 그치지 않는다. 북녘의 밤이 일제 치하 국경의 밤과 무엇이 다른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