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대구시 신청사, 백년대계 고려해야

하중환 대구 달성군의회 의원

하중환 대구 달성군의회 의원
하중환 대구 달성군의회 의원

보통의 시민들은 내 집을 마련할 때 최소 10여 년을 내다본다. 교육 환경부터 교통, 상권, 향후 가치 등을 꼼꼼하게 살핀다. 골머리를 앓아 겨우 집을 결정해 이사했지만 사전에 예측하지 못했던 불편함이 뒤늦게 드러나 깊은 탄식을 내쉬기도 한다. 이처럼 시민들은 새로운 집을 구하는 것을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에 버금갈 정도로 중요한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 대구시는 지방정부의 도읍인 시청사를 옮기는 큰 사업을 주먹구구식으로 추진해 사뭇 유감이다. 시는 올해 초 신청사 건립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공론화위원회'를 출범시킨 뒤, 시민 250명을 통해 최종 입지를 선정하겠다고 선언했다.

250명은 대구시 인구의 0.01% 수준이다. 이 인원에게 어떻게 대구의 백년대계를 맡길 수 있는지 의문이다. 진정성·객관성이 결여될 여지가 다분하다. 이 때문에 시 신청사 결정 구조가 '공론화'가 아닌 '깜깜이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비판이 여기저기서 쏟아지고 있다. 공론화위가 유치를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의 과열 경쟁 행위에 대해 페널티를 엄격히 적용하는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엔 일부 여론을 의식해 언론 광고와 현수막 게시의 제재를 완화했다지만, 턱없이 부족하다. 여전히 시민들은 알 권리를 차단한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이 신청사 건립 계획 수립 용역을 맡은 것도 적절치 않다는 평이 많다. 시는 공정한 입지 선정을 위해 평가 진행은 국토연구원, 지역의 현 실정을 잘 아는 대구경북연구원이 신청사 건립 기본 구상안을 맡는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4개 지자체가 첨예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의 예산을 받는 기관이 건립 부지 선정 과정이 포함된 용역에 참여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되묻고 싶다.

필자는 시 신청사는 현재 대구의 상황과 관련 지자체, 도심 상권의 기득권에 얽매이지 않고 오롯이 지역 발전 방향만 담아 낼 수 있는 달성군 화원읍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감히 제언한다. 화원읍은 신청사 건립 목적과 취지를 200% 이상 만족시키는 절대적 비교 우위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화원읍 예정지와 대구도시철도 1호선과는 불과 1분 거리인 데다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 국도 5호선, 대구산업선 등이 인접, 편리한 교통 기반을 갖추고 있다. 드넓은 부지에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땅값은 주변부 개발과 신도심 조성의 부담을 말끔히 없애준다.

한마디로 화원은 계획하는 대로 그려지고 설계하는 대로 세워지는 하얀 도화지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쇠락하는 대구의 도시 기운과 위기의 대구 경제를 소생시키는 반전의 계기를 찾을 수 있는 유일한 후보지다. 경쟁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미지의 신세계나 다름없는 화원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된다면 대구판 신뉴딜정책이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효과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다.

여기에 도시 확장성의 일환으로 합천·창녕군, 고령·성주군 등 경남·경북 생활권까지도 대구로 유인하는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처럼 화원읍은 시 신청사 이전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도시 개발 발전과 균형 잡힌 도시 개발이라는 대의명분을 한꺼번에 잡을 수 있다. 대구의 미래를 새롭게 건설할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