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에 국내 유일 벼루 전문 박물관 연 손원조 씨

49년 동안 1천500여점 수집…엄선한 100여점 전시

손원조 취연벼루박물관 관장이 2층 전시실에서 벼루의 재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
손원조 취연벼루박물관 관장이 2층 전시실에서 벼루의 재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

흙을 빚은 뒤 구워서 만든 벼루가 있는지 처음 알았다. 가마솥을 연상시키는 형태에 발이 여렷 달린 통일신라시대 원형 벼루다. 어른 손바닥보다 훨씬 작은 성냥갑만한 벼루도 있다. 나무로 만들어지거나 수정으로 만든 것도 있다. 옛 여인들이 화장용 재료를 갈기 위해 휴대하던 화장벼루도 있다. 얼마나 사용했기에 먹을 가는 부분인 연당(硯堂)에 구멍이 난 것도 전시돼 있다.

지난 4월 경주시 화랑로 경주읍성 서쪽에 문을 연 취연벼루박물관이다. 그동안 국립박물관·대학박물관 등이 전시실 한켠에서 더러 벼루를 전시하긴 했지만, 벼루만 전문적으로 전시하는 박물관은 전국에서 유일하다. 관장은 40여 년 지역 언론에 몸담았고 경주문화원장을 지낸 손원조(77) 씨다.

"경주 강동면 오금리 경주손씨 집성촌에서 태어나 제사를 자주 접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예닐곱 살 무렵부터 집안 어른들이 축문과 지방을 쓸 때 자주 먹을 갈았던 경험이 자연스레 벼루 수집으로 이어지게 된 거죠. 선조들의 체취가 서린 대상이란 점도 매력으로 다가왔습니다."

그가 처음으로 벼루를 수집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초반. 수집한 벼루가 하나 둘 늘면서 벼루의 다양한 재질과 형태, 새겨진 여러가지 문양에 매료돼 벼루전문 수집가가 됐다. 박물관 이름의 '취연'(醉硯)은 '벼루에 취하다'란 의미로 손 관장의 아호다.

벼루를 수집한지 49년째인 올해까지 그가 모은 벼루는 모두 1천500여점. 내친김에 건물을 짓고 벼루전문박물관을 개관하기에 이르렀다.

2층에 마련한 주 전시실엔 삼국시대 흙벼루를 시작으로 고려시대 풍자벼루, 조선시대 오석벼루, 자석벼루, 옥벼루, 수정벼루는 물론 나무벼루, 쇠벼루 등 벼루 100여점이 전시돼 있다. 나머지 1천400여점은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는데 앞으로 서로 번갈아가며 전시할 계획이다.

이곳에선 벼루 외에도 중국에서 왕실에 공납하던 120년된 종이와 105년된 먹, 먹을 갈때 쓸 물을 담는 그릇인 연적, 벼루나 먹을 보관하도록 만든 연갑과 연상 등 문방사우를 비롯한 다양한 문방구류도 만나볼 수 있다. 어린이 관람객을 위해 벼루에 먹을 갈며 붓글씨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만들어놨다.

"이곳에 있는 벼루는 제 삶의 흔적과도 같은 것들이죠. 벼루박물관이 젊은 세대들에게 민족유산의 숨결을 전할 수 있는 사랑방 같은 열린 공간이 됐으면 합니다."

손 원장이 박물관 1층을 관람객들이 무료로 제공되는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으로 꾸민 이유다. 입장료는 2천~3천원, 매주 월요일은 쉰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