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 자인면 지역주민들은 자인단오제를 오랫동안 전승해왔다는 것에 자부심이 대단하다.
경산자인단오제는 강릉단오제와 함께 전국 2대 단오제로 평가받고 있다.
자인단오제는 신라시대 때 왜구로부터 자인 고을을 지켜 수호신으로 추앙받고 있는 한장군을 기리는 한장군대제를 올리고 난 뒤 자인단오큰굿, 호장장군 행렬, 여원무, 자인팔광대 등의 민속연희를 펼치는 방대한 형태의 고을 굿이다.
자인단오제는 1968년 부활된 뒤 1973년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됐다. 한장군놀이보존회(현 경산자인단오제보존회)를 중심으로 자인지역 주민들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자발적인 참여와 찬조로 자인단오제의 전통을 이어왔다.
특히 한장군을 기리는 놀이인 여원무는 1971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국무총리상, 자인팔광대놀이는 1988년 동 대회 문화공보부장관상, 계정들소리는 1998년 동 대회 대통령상을 받았다.
작은 면 단위에서 전승돼 온 민속문화 중 3개의 민속이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수상했다는 것은 그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빛나는 것이다.
이런 자부심을 가졌던 자인 지역 어르신들은 요즘 시대의 변화로 주민들이 점차 자인단오제에 대한 자부심이 옅어지고 관심이 부족해지는 것을 매우 아쉬워한다.
또 수년째 5억원 이상의 시 예산을 투입하는 자인단오제가 열리고 있지만, 경제효과는 지역의 음식점과 상가는 미미하고 뜨내기 외지 노점상들이 불법 영업을 해 잇속을 챙겨간다는 사실에 안타까워한다.
지자체가 문화제나 축제를 개최하는 목적은 지역의 전통문화 전승과 특산물 홍보· 판매, 외지 관광객 유치로 상경기 활성화 등이다. 이런 측면에서 뜨내기 노점상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강릉단오제의 먹거리와 난장의 합법화와 공개입찰 등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접목해야 할 것이다.
경산자인단오제가 개최 목적에 더 충실하려면 자인단오제보존회나 지역민들이 자부심에 걸맞는 지역 전통문화 전승에 더 힘쓰고, 그동안 단오제를 치루면서 불거졌던 잘못된 관행을 과감히 개선해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