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남기 "2022년까지 5대 소비재 수출 350억달러 달성 목표"

추경 관련 "현 상황 몹시 안타까워"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7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 추경안 등에 대해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7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소비재 수출 활성화 방안, 추경안 등에 대해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2년까지 5대 소비재 수출액 350억달러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12일 말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경제활력대책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15개 성장유망 소비재 브랜드를 'K-프리미엄 브랜드'로 선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도심 소비재 제조·수출 거점을 구축해 지역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5대 유망소비재에 대한 수출보험 우대지원 규모를 2018년 4조8천억원에서 8조원으로 대폭 확대하는 등 소비재 수출 금융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소비재 수출기업의 인증·통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무역협회에 '해외인증 지원 데스크'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플랫폼 경제 확산을 위해 ▷기존 산업 혁신 ▷신사업 창출 ▷삶의 질 제고 파급효과가 큰 분야를 중심으로 융복합 선도사례를 발굴하고 8월 중으로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플랫폼 경제 활성화를 위한 2단계 방안으로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가속화하고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집중하려고 한다"고 부연했다.

서비스업 산업혁신전략은 제조-서비스업 간 차별 해소와 핵심규제 혁파, 연구개발(R&D) 확대에 중점을 두고 최종대책을 이달 안에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이달 발표하는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10조원 규모의 투자 프로젝트를 담겠다면서 "투자 활력 제고 방안과 소비·수출 활성화, 산업혁신, 규제개혁 등 경제활력 제고에 최우선 순위를 놓고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표된 고용 동향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부진한 고용 흐름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그는 추가경정예산안의 조속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한 지 50일이 다 돼 가는 데 아직 심사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며 "지난 10년간 국회에 제출한 추경안 통과에 걸린 시간이 최장 45일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현 상황이 몹시 안타깝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