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수자원공사, 영주댐 수질관리대책 대대적으로 펼친다

이달 초 영주댐 수질관리대책 추진 계획 확정

2016년 준공된 후 영주댐은 녹조 때문에 담수를 하지 못한 채 물을 흘려보내고 있다. 지난 3월 영주댐의 모습. 매일신문 DB
2016년 준공된 후 영주댐은 녹조 때문에 담수를 하지 못한 채 물을 흘려보내고 있다. 지난 3월 영주댐의 모습. 매일신문 DB

심각한 녹조현상으로 '똥물'이라는 오명까지 붙었던 영주댐 수질을 관리하기 위해 한국수자원공사가 총력전을 벌인다. 댐 준공 3년이 되도록 담수를 못하는 상황에서 수질관리 대책 시행을 더는 미룰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17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영주댐 수질관리 종합대책' 연구 용역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해 이달 초 영주댐 수질관리대책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용역 결과에 따르면 영주댐 유역의 농경지 비율은 21%로 대청댐 16%, 합천댐 15% 등 국내 다른 댐보다 훨씬 높다. 가축 사육 두수도 ㎢당 5천472마리로 다른 댐 유역보다 많지만, 하수처리율은 경북 평균 80%보다도 낮은 63% 수준이다.

특히 가축 분뇨가 문제인데 한우, 돼지 등에서 하루 838.7t이 발생, 그 가운데 65.2%(546.4t)가 논과 밭에 퇴비로 뿌려진다. 비가 오면 이 퇴비가 영주댐으로 모여드는 것이다.

이와 관련, 한국수자원공사는 먼저 방치된 축산분뇨를 수거해 처리하는 기본적인 일에서부터 수질자동측정 및 자동채수 장치를 확대, 수질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생태 벨트와 습지를 조성해 오염수가 댐으로 곧바로 들어오지 않는 방어막도 형성할 계획이다.

또 한우 축산분뇨를 태워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시범 사업도 당장 올해부터 시행한다.

수자원공사는 특히 영주댐 유역을 각종 사업 추진 시 국비 지원 비율이 높은 비점오염관리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하는 한편 댐 저수지역에 국한된 한국수자원공사의 비점오염원 관리 권한을 댐 유역 전체로 확대하는 법 개정도 건의한다.

다만, 댐 담수 시점은 여전히 확정되지 않았다. 연구 용역 결과 올 8월부터 담수하는 계획이 제안됐지만, 환경부 등과 아직 협의를 마무리하지 못했다.

환경부는 대구-구미 물 공급, 울산권 용수 확보 등을 위해 지난 4월부터 추진 중인 '낙동강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연구'에 영주댐 문제도 과제로 포함했는데 1년은 걸릴 전망이다. 지역 환경단체의 붕괴 위험 지적으로 17일 진행될 예정(매일신문 13일 자 10면)인 안전성 점검 결과도 주요 변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