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천시의회, 영천~안동·경주 시외버스 노선 복구 및 울산 노선 신설 촉구

조창호 영천시의원 "노선 폐지 따른 지역민 불편과 함께 지역간 단절 및 고립화 초래"
영천시, 기 업유치 및 인구 유입 필수사항인 편리한 교통인프라 구축 나서야

조창호 영천시의원. 영천시의회 제공
조창호 영천시의원. 영천시의회 제공

영천시 공무원 A씨는 업무차 안동(예천)에 있는 경북도청을 자주 찾아야 하지만 지난해 1월 영천~안동간 시외버스 노선이 폐지되면서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

A씨는 "시외버스 업체가 적자 노선을 폐지할 수밖에 없다는 점은 어느 정도 이해가 가지만 경북도민이나 공무원들이 많이 찾는 도청 소재지를 오가는 노선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경북도와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소연했다.

영천에서 안동 및 경주 등지를 운행하던 시외버스 노선이 지난해 폐지되면서 불편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이들 노선은 경북도내 행정·관광·문화 중심지를 오가는 구간으로, 노선 폐지에 따른 영천의 단절 및 고립화를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영천은 대구(40km)·포항(30km)·안동(90km)·청송(60km)·경주(36km) 등 5개 방면의 사통팔달 교통망이 구축돼 있다. 그러나 현재 시외버스가 운행되는 구간은 대구·포항·청송 3개 방면 뿐이다. 경북도청이 있는 북부권 중심도시 안동과 국내 최고 관광지인 천년고도 경주는 지난해 노선이 폐지됐기 때문이다.

이에 영천시의회가 안동과 경주 시외버스 노선 복구를 촉구하고 나섰다.

조창호 영천시의원은 "경북도가 영천시와의 협의도 없이 지난해 1월과 6월 각각 안동과 경주 시외버스 노선을 폐지해 3개 도시 주민들의 교통 불편과 함께 지역 간 단절 및 고립을 초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올해 1월 영천시와 울산시 남구청간 우호협약을 계기로 자동차(부품)산업에서 강점을 가진 두 도시간 인적 및 물적 교류 활성화를 위해 영천~경주~울산을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신설도 주문했다.

조 의원은 "영천과 안동·경주·울산간 교류 활성화는 농수산물 판매 등 경제 효과는 물론 문화관광 및 스포츠 등에 있어서도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