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제일고등학교에서 '도전골든벨' 최후 1인이 '트롤리 딜레마'를 답하지 못해 골든벨 도전이 좌절됐다. 이에 많은 네티즌들은 트롤리 딜레마가 무엇인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트롤리 딜레마는 '소수를 희생해서 다수를 구할 것인가'에 대한 개개인의 판단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가령 윤리 철학자인 필리파 푸트레이크가 제안한 문제로 고장 난 트롤리 기차가 달리고 있고 레일 위에는 5명의 인부가 일을 하고 있다. 트롤리가 이대로 달린다면 5명은 반드시 죽게 될 것이다. 한 가지 방법은 레일변환기로 트롤리의 방향을 바꾸는 것뿐이다. 그런데 다른 레일 위에는 1명의 인부가 있다. 당신은 트롤리의 방향을 바꿀 것인가? 라는 문제에서 응답자의 89%는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즉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할 수 있다고 결정한 것이다.
하지만 위 문제에 이어 미국 도덕 철학자인 주디스 톰슨이 추가적으로 제안한 문제에선 78%가 다수를 위해 소수를 희생하면 안된다고 대답했다. 해당 문제는 아래와 같다.
당신은 육교 위에서 트롤리가 달리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브레이크가 고장 난 트롤리는 5명의 인부를 향해 달리고 있다. 무거운 것을 떨어뜨려 트롤리를 멈춰야 하는데, 육교에는 뚱뚱한 사람 한 명이 있을 뿐이다. 당신은 몸무게가 적어 육교에서 떨어져도 트롤리를 멈출 수 없고, 뚱뚱한 사람을 떠밀 경우 확실히 트롤리를 멈출 수 있다. 그렇다면 뚱뚱한 사람을 육교 아래로 떨어뜨려야 하는가?
이렇든 '소수를 희생해서 다수를 구할 것인가'를 묻는 두 문제에서 서로 다른 대답이 나왔고 이를 '트롤리 딜레마'라고 한다.
위와 같은 '트롤리 딜레마'가 생기는 원인은 각각의 상황에 있어 뇌의 다른 부분이 활성화 됐기 때문이다.
첫 번째 문제에선 응답자들의 합리적, 이성적인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전전두엽 부위가 활성화됐고, 두 번째 문제에선 편도체(amygdala)를 포함한 정서와 관계된 뇌 부위가 활성화됐기 때문이다.
이렇듯 '트롤리 딜레마'는 우리가 윤리적 결정을 할 때 옳고 그름의 판단과는 별개로 뇌의 이성적 판단 중추와, 정서적 판단 중추 중 활성화된 쪽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준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