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환경보전지역 비율 '광역시 1위'…경북 전체 인구 78% 도시에 거주

국토부 도식계획현황 통계 발표

전국 광역시 가운데 대구의 자연환경보전지역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은 지난해 경기도에 이어 두번째로 개발행위허가가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24일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표한 '2018 도시계획현황 통계'에 따르면 대구 전체 면적 883.5㎦ 가운데 도시 지역이 90.3%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인구 246만 명 중 99.8%인 245만여 명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었다.

대구의 용도지역 중 자연환경보전지역(48.3㎦)이 차지하는 비율은 5.5%로, 전국 8개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았다.

도로, 공원, 수도, 학교, 하천 등 대구의 계획시설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은 건 교통시설로, 45.9%를 차지했다. 이어 광장·공원 등 공간시설(44.3㎢)이 32.0%, 공공문화체육시설(15.8㎢) 11.4% 등이었다. 계획시설 가운데 미집행 면적은 30.3㎢로, 21.8%를 차지했다.

경북의 면적은 1만9천128.7㎢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넓었고, 도시지역은 9.8%(1천867㎢)를 차지했다. 그러나 경북 전체 인구 266만 명 가운데 209만 명(78.3%)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었다.

용도지역 중 농림지역이 58.3%(1만1천152㎢)를 차지했고, 관리지역(4천978.6㎢)은 26.0%였다.

경북의 개발행위 허가건수는 3만1천85건(면적 363㎢)로, 경기도(7만9천254건)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많았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건축물 건축'으로, 63.1%를 차지했다.

또한 경북은 계획시설 중 미집행시설이 136.1㎢로 경기도(200.2㎢)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넓었다.

경북에서 가장 개발이 활발했던 지역은 인구가 가장 많은 포항(2천687건·219㎢)이었지만, 인구가 포항의 절반 정도인 경산의 개발행위허가가 2천630건으로 두번째로 많은 점도 눈에 띄었다.

한편 우리나라 주민등록상 총인구 5천182만여 명 중 91.8%인 4천759만 명이 전체 국토면적의 16.7%를 차지하는 도시에 몰려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