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상류 보 인근 경북 시·군들이 향후 보 개방 가능성에 따른 정부의 양수장 시설 개선 권고를 두고 딜레마에 빠졌다.
보 수위가 낮아져도 낙동강 용수를 원활히 공급하려면 양수장 시설을 개선하고 행정안전부에 특별교부세를 신청해야 하지만, 이런 행보가 자칫 농민들에게 '보 개방 찬성'으로 비춰질 수 있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어서다.
3일 경상북도에 따르면 낙동강 상류 보 인근에는 상주 15곳, 구미 7곳, 칠곡 4곳, 성주 1곳, 고령 1곳 등 시·군이 운영하는 양수장이 모두 28개소가 있다.
정부는 보 완전 개방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양수장 시설 개선을 권고하고 행정안전부 특별교부세 114억원을 활용하도록 했지만, 3일 현재 특별교부세 신청에 나선 경북 시·군은 한 곳도 없다.
한 시·군 관계자는 "보 개방을 두고 반대하는 지역 여론이 있는 상황에서 특별교부세를 신청하면 보 개방을 찬성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면서 "먼저 나서기가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다른 시·군 관계자는 "정부가 낙동강 상류 보는 영농기 양수에 지장이 없을 만큼만 개방하고 있어 당장 시설 개선 예산을 신청해야 할 정도로 급하지 않다"고 했다.
또한 정부가 양수장 시설 개선 미비로 보 완전 개방을 상시로 하지 못하는데 시설 개선이 완료되면 지역민 동의 없이 보 개방을 밀어붙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반면 양수장 시설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가운데 보 개방 등으로 수위가 변동되면 양수 시설과 수면 높낮이 차이로 인해 취수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질사고, 가뭄, 홍수, 수질 개선 등을 위해 보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도 어렵다.
한편, 낙동강 상류 보 주변의 양수장 가운데 시·군이 아닌 한국농어촌공사가 운영하는 45곳은 지난해 560억원가량의 예산을 확보, 시설 개선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