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시가 명실상부한 세계유산도시로 도약했다.
지난 6일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43차 세계유산위원'에서 안동의 도산서원, 병산서원을 비롯한 9개 서원으로 구성된 '한국의 서원'이 유네스코 등재가 확정됐기 때문이다.

안동은 이날 도산서원과 병산서원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하회마을(2010년 등재), 봉정사(2018년 등재) 등의 세계유산과 세계기록유산인 유교책판(2015년 등재)을 보유한 도시가 됐다.

안동을 대표하는 두 서원의 세계유산 등재를 기념해 안동시는 7일 도산서원과 병산서원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축하 행사'를 개최했다.
특히 이날 두 서원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등재 기념품을 제공하고, 도산서원에서는 이날 하루 입장료를 면제했다. 또 축하 방명록을 비치해 관광객들이 인사말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세계유산으로서의 서원 가치를 새롭게 느낄 수 있는 축하의 장이 마련됐다.

앞으로 안동시는 한국의 서원에 함께 등재된 다른 7개 지자체와 문화재청, 경상북도 등과 협력해 등재 권고 시 추가 이행 과제로 제시됐던 9개 서원에 대한 통합 보존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서원 활용 방안 모색 등 세계유산으로서 서원의 가치를 널리 알려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안동시는 만인소, 내방가사 등 세계기록유산 추가 등재를 위한 사업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에 등재된 '만인의 청원, 만인소'는 조선시대 1만여 명의 재야 유교 지식인이 연명해 왕에게 올린 청원서다. 안동시는 초기 민주주의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내용적 가치를 중심으로 2023년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목표로 체계적인 활동을 진행 중이다.
더불어 '한국의 편액'과 세계에서 하나뿐인 여성문학 '내방가사' 등도 세계기록유산 국제 목록과 지역 목록에 등재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나갈 작정이다.
나아가 한국국학진흥원 내에 소장된 52만 점의 기록유산 가운데 앞으로 등재 가능성이 있는 기록유산을 발굴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작업도 병행할 방침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전통문화의 핵심적인 기록유산의 가치를 발굴하고 세계적인 수준에서 공유함으로써 우리 선현들의 뛰어난 기록문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