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영천 거대한 '폐기물 쓰레기장' 전락… 전국적 불법 유통조직의 '먹잇감'

북안면, 대창면 등지에 폐기물 쓰레기 수천~수만t 불법 적재, 침출수 유입 등 온갖 민원 말썽

경북 영천시 북안면에 있는 한 업체에 인·허가 기준을 훨씬 넘는 폐기물 쓰레기가 적재 가림막을 넘어 인접한 야산(사진 왼쪽)에까지 쌓여 있다. 이 업체는 주변 산림 불법 훼손 및 폐기물 침출수 유출 등으로 말썽을 빚고 있다. 강선일 기자
경북 영천시 북안면에 있는 한 업체에 인·허가 기준을 훨씬 넘는 폐기물 쓰레기가 적재 가림막을 넘어 인접한 야산(사진 왼쪽)에까지 쌓여 있다. 이 업체는 주변 산림 불법 훼손 및 폐기물 침출수 유출 등으로 말썽을 빚고 있다. 강선일 기자

경북 영천지역이 거대한 '폐기물 쓰레기장'으로 전락하고 있다. 특히 영천 일부지역은 경기 불황으로 가동이 중단된 공장 부지를 악용해 대량의 폐기물 쓰레기를 불법 적재한 뒤 잠적해버리는 전국적 쓰레기 유통조직의 '먹잇감'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영천시는 전국적 이슈로 떠오른 폐기물 쓰레기 문제와 관련해 지역 내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가 하면 주민들의 각종 민원 제기로 몸살을 앓고 있으면서도 뒷짐만 지고 있는 상황이다.

영천시 및 업계에 따르면 북안면 한 업체의 경우 인·허가 처리기준을 훨씬 초과한 6천t 정도의 폐기물 쓰레기가 쌓인 탓에 주변 산림 훼손은 물론 폐기물에서 나온 침출수가 인근 농지로 유입되는 등의 말썽을 빚고 있다.

이 업체에서는 지난 5월 자연발화로 추정되는 대형 화재가 발생해 1천t 이상의 적재 폐기물을 태워 화재 진압에만 이틀 이상이 걸린 적도 있다.

영천시는 이런 사실을 '쉬쉬'해 오다가 주민 민원이 불거지자 5일 현장점검을 통한 침출수 시료 채취 검사 의뢰와 함께 환경법 및 산림법 위반 행위 등에 관한 법적조치에 들어갔다.

뿐만 아니라 대창면에 있는 2곳의 공장 부지에는 1만t이 훌쩍 넘는 폐기물 쓰레기가 불법 방치돼 있다. 이들 공장 부지는 소유주의 공장 이전 또는 가동 중단으로 지난해 12월쯤 전국적으로 활동하는 불법 폐기물 유통조직에 임대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폭력배가 개입된 것으로 알려진 이 조직은 이른바 '바지사장'을 비롯한 전국의 폐기물을 수집해 불법 유통시키는 중간 수집책과 총책 등 5단계 이상의 치밀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얘기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영천에는 고경면·북안면·대창면·신녕면 등지의 임대된 공장 부지나 토지 30여곳에 수십만t의 폐기물 쓰레기가 소유주도 모르게 불법 적재돼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일부 장소는 불법 적재 사실이 드러나면서 소유주의 검찰 고발 및 경찰 수사 움직임이 일자 불법 유통조직이 이를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 작업에 들어갔다는 얘기도 들었다"고 전했다.

영천시의회는 폐기물 쓰레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난 5월 임시회에서 영천시에 조속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시는 아직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현재 영천시에 등록된 폐기물 처리업체 수는 167개며, 수집·운반업체까지 포함하면 300개가 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조창호 영천시의원은 "영천시가 최근 4~5년 사이 관련 인·허가를 남발하면서 폐기물 처리업체수가 급격히 늘어났다"며 "폐기물 쓰레기가 영천으로 몰리면서 각종 불법이 만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북 영천시 대창면 한 공장 부지에 전국적 불법 폐기물 유통조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기물 쓰레기가 쌓여 있다. 제보자 제공
경북 영천시 대창면 한 공장 부지에 전국적 불법 폐기물 유통조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기물 쓰레기가 쌓여 있다. 제보자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