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스마트시티 수출 확대 나선다

1조5천억 펀드 조성 해외 수주 지원

정부가 스마트시티 분야의 수출 확대를 위해 1조5천억원 규모의 펀드를 연내 조성하고, 약 5천억원을 해외 사업에 투자한다.

정부는 8일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교통·에너지·환경·주거·복지 등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 솔루션이 집적된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한국은 20년 이상의 신도시 개발 경험과 우수한 ICT 인프라가 구축돼 있지만 지원 시스템 부족으로 해외 수주에 한계를 보여온 것이 이번 방안 수립의 배경이다.

먼저 정부는 1조5천억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펀드를 연내 조성해 5천억원가량을 스마트시티 해외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PIS 펀드는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해당 분야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함께 조성하는 기금으로 모두 3조원 규모로 만들어진다.

정부 재정과 공공기관 예산으로 현재 6천억원의 모펀드 조성이 끝났으며 나머지는 정책금융 및 연기금 등 민간과의 매칭을 통해 조성하기로 했다.

한국 주도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에도 나선다.

아세안과 중남미 중동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에 관심이 큰 국가를 중심으로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국-해외 정부 비용 매칭으로 시범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대·중소기업 동반 지출 지원도 벌인다.

이를 위해 세계 3대 수준의 스마트시티 국제 행사를 목표로 오는 9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해 대·중소·스타트업 기업 공동전시회와 산업체 간 교류의 장을 만들기로 했다.

주요 스마트시티 해외사업 입찰 시 대중소기업 컨소시엄 구성으로 맞춤형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스마트시티 관련 대·중소기업이 해외에 함께 진출하면 중소기업 대상 우대 금융조건(대출금리 0.3∼1.0%p 인하)을 적용한다. 중소기업이 해외 발주처와 단독 계약을 추진할 때도 0.3%p의 금리 인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와함께 해외 스마트시티 수주를 위해 국무총리 등 고위급 외교 활동 시 '팀 코리아' 차원의 마케팅 지원과 로드쇼 연계로 시너지를 창출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가 스마트시티를 유망한 수출 분야로 인식하고 범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관계 기관과 기업이 함께 해외 진출 유형별 맞춤형 지원 방안도 곧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