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스마트 공장, 전기차 배터리 등 일본 수출규제 시 타격 가능성

스마트공장 핵심 '센서' 부품 국산화율 20%대, 일본이 핵심 기술 보유
전기차 배터리 소재 및 첨가제, 평판 디스플레이 생산장비, 금속공작기계 등도 일본산 의존도 높아

일본이 이달 들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 소재 3개 품목에 대한 대(對)한국 수출 규제를 들고 나온 가운데 일본의 다음 카드가 무엇일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일본이 추가적인 수출 규제에 나섰을 때 한국이 스마트공장, 전기차 배터리, 금속공작기계 등 다수 분야에서 위협받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일본의 대(對) 한국 수출규제가 확산될 경우 타격이 예상되는 분야로는 스마트공장이 꼽힌다. 스마트공장 구축의 핵심 기술인 센서 부품의 국산화율이 평균 26.7%에 그쳐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이 분야에서 세계적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2월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4명의 장관급 인사들이 체험한 바리스타 로봇의 센서 부품도 일본산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도 일부 원료나 첨가제 등에서 일본 의존도가 높게 나타나 위협을 받을 전망이다.

국내 제조사들은 전해액의 원료인 리튬염과 전해액 첨가제, 양극재와 음극재를 접착시키는 바인더, 동박 제조에 쓰이는 설비와 알루미늄 파우치 등에서 주로 일본 제품을 쓰고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수입한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장비의 74.2%, 반도체·디스플레이 촬영용 기기의 64.8%가 일본산으로 의존도가 높다.

이 밖에도 금속공작기계(38.4%), 합금철(37.7%), 형강(35.0%), 강판(34.3%) 제품은 국내 기업이 일본산 제품을 사용하는 게 가장 효율적으로, 일본 의존도가 높다. 석유화학 중간제품(40.7%), 기초유분(68.2%), 플라스틱 제품(40.7%)도 일본이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점 떄문에 일본산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