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산지역 쓰레기(생활·음식물·재활용) 수거업체 3곳에 근무하는 환경미화원들의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쓰레기 수거가 늦어지는 등 주민 불편이 커지고 있다.
지난 1일부터 쓰레기 민간위탁업체 5곳(총 92명) 중 민주노총 경산환경지회 소속 3곳(성암환경·대림환경·웰빙환경)의 노동자 32명이 파업을 하면서 동부·중방·북부·서부2동, 진량읍, 압량·남천·용성·자인면 지역의 쓰레기 수거가 늦어지고 있다.

이들 업체의 비조합원과 관리직원 등이 동원돼 쓰레기 수거 및 처리에 나서고 있지만 이들의 업무 숙련도가 떨어지다보니 평소보다 2~3시간 더 걸리고 있다. 때문에 대학가 원룸촌 등의 쓰레기 더미에서 악취가 나는 등 주민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

경산시는 애초 오후 4시까지인 소각장과 매립장의 쓰레기 반입시간을 오후 6시까지로 연장했다. 지난 8일부터 시 소속 환경미화원 등을 동원해 가로변 청소와 쓰레기 분리수거 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민노총 경산환경지회 소속 노조원들과 마찰을 빚는 경우도 벌어지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대구경북본부 경산환경지회(이하 경산환경지회)는 10일 오전 경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산시는 파업 해결을 위한 노력은 커녕 지난 8일부터 담당부서 공무원과 시 소속 환경미화원을 동원해 쓰레기 수거에 나서고 있다. 시는 대체인력 투입을 중단하고 파업 해결에 적극 나서라"고 했다. 경산환경지회는 기본금 5% 인상과 정년 연장(63세에서 65세)을 요구하고 있다.
민간위탁업체 관계자는 "정년 연장은 산업재해 위험 등의 이유로 수용할 수 없고, 기본금 을 5% 인상하면 연간 240만~250만원 정도의 연봉이 오르는 셈인데, 경산시와 계약한 인건비 금액을 초과해 적자를 보게 된다"고 했다.
경산시 관계자는 "주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시 소속 환경미화원 등을 동원해 쓰레기 수거 업무를 하는 것은 정당하다"고 했다.
한편 경산시는 하루 평균 8만8천230톤(2018년 기준)의 폐기물을 수거하는데, 이들 3개 업체는 전체의 62%인 4만2천131톤을 수거 처리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