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안과] 다초점인공수정체 수술로 백내장과 노안개선 동시에

노화로 인해서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 크게 노안과 백내장

대구안과 조영수 원장 수술 모습.
대구안과 조영수 원장 수술 모습.

노안은 40대 초반부터 서서히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고 눈이 침침해지는 증상이 생긴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 및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인 모양체의 탄성이 떨어져 초점이 조절되지 않기 때문이다. 수정체는 카메라 렌즈와 같이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투명하고 탄력 있는 조직이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노화로 인해 혼탁해지면서 시력 저하 및 시야 흐림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노안은 돋보기를 착용하면 잘 보이게 되지만, 백내장의 경우에는 안경으로는 한계가 있어 수술을 필요로 한다. 백내장 수술은 과거에는 단초점 인공수정체를 사용해 원거리 시력회복은 가능했지만 근거리를 볼 수 있는 조절 기능이 없어 노안처럼 책이나 신문을 읽을 때 돋보기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을 개선한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별도의 교정장치 없이 노안시력까지 개선한다. 과거에는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이중초점이라 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 두곳에 초점이 잡혀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중간거리가 흐려 보이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4중 초점 인공수정체인 '팬옵틱스'가 등장하면서 한국인이 평균적으로 가장 많이 보는 시야거리인 60cm에 최적화된 시력을 제공하면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다초점 인공수정체가 널리 이용되면서 중요해진 것이 수술전의 안구 계측 및 수술 중의 전낭절개이다. 환자에게 알맞은 도수의 인공수정체를 정확한 위치에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수술 전 인공수정체 도수를 정하기 위해 초음파 방식으로 환자 눈에 직접 접촉을 통해 측정했다. 의사의 숙련도나 환자의 협조 정도에 따라서 편차가 발생해 수술 후 굴절 값에 오차가 있었으나, 최근 비접촉식이며 망막의 황반부까지 직접 보면서 측정할 수 있는 빛간섭단층촬영를 기반으로 하는 장비의 등장으로 정확도가 크게 개선됐다.

인공수정체를 정확한 위치에 넣기 위해서는 백내장 수술시 수정체 앞부분에 시행하는 전낭 절개를 중심에 정확한 크기로 하는 것이 수술 후 안정성 및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낭절개란 수정체 앞쪽에 있는 얇은 막을 동그랗게 오려내는 과정이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인공수정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부까지 굴절력이 다르기 때문에 조금만 중심이탈이 발생해도 시력 저하나 빛 번짐이 생길 수 있다.

정확한 전낭절개를 위한 기술도 발전중이다. 최신 기법으로 미세 전류를 이용해 전낭절개를 시행하는 '젭토'가 있다. 젭토 백내장수술은 칼을 이용하던 기존 백내장 수술과는 달리 0.004초의 속도로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360도 원형의 수정체 전낭 절개로 안전하면서도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대구안과 조영수 원장은 "젭토 백내장수술은 일반 백내장수술보다 절개면의 인장강도가 최대 3배나 강하며, 작은 동공이나 수정체를 잡아주는 소대가 약한 환자에게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