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른 아침에]화내도 된다

기습적으로 발동한 日 수출 규제
상대 국가를 업신여길 때나 가능
우리 경제에 타격 주겠다는 그들
힘을 모아 맞선다면 이길 수 있어

권은태 (사)대구콘텐츠 플랫폼 이사
권은태 (사)대구콘텐츠 플랫폼 이사

사실, 조선은 일본의 상대가 아니었다. 파트너도 경쟁국도 아니었을뿐더러 심지어 위협이 될 만한 적수도 못 되었다. 일본에 조선은 단지 새로운 수익을 가져다줄 미개척지, 즉 경략(經略)의 대상에 불과했다. 그게 20세기 초 일본 군국주의자들의 눈에 비친 조선이었다.

당시 조선과 일본의 국력 차이는 국가 조직, 사회 시스템, 특히 기술문명의 수준 등 모든 면에서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컸다. 우월의식에 사로잡힌 제국주의자들의 눈에 조선이 동등한 권리를 지닌 국가로 보일 리 없었다. 미개한 나라, 미개한 백성이라 여겼고 따라서 전쟁을 치르는 것조차 불필요한 일이라 여겼다.

그저 시간을 두고 조선인들을 어르고 달래다 보면, 그리고 편을 갈라 서로 싸우게 하면 조선 땅은 자연스레 굴러 들어올 거라 판단했다. 이토 히로부미 등의 생각이 그랬다. 그렇게 그들은 조선과 조선의 민중을 업신여기고 깔보며 때론 이간질시키고 때론 총칼로 압박하며 해안을 빼앗고 광산을 빼앗고 행정권을 빼앗고 사법권을 빼앗고 군대를 빼앗고 결국 나라를 빼앗아 갔다. 그리고 그 군국주의자들 중에는 아베 신조 총리의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도 있었다.

만약 그가 자신의 손자가 일으키고 있는 작금의 사태를 본다면 뭐라고 할까? 우연인지 필연인지 한국에 대한 아베의 인식은 100여 년 전 일제 군국주의자들의 그것과 무척 닮았다. 한국을 향해 내뱉는 한마디 한마디엔 한국을 하등 국가 취급하는 그의 의식이 묻어 있다. "넌 별거 아냐, 넌 믿을 수 없어, 그러니 넌 혼나야 돼." 뭐 이런 식이다. 국가 간에 주고받는 메시지의 형식이 아니다.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도 그렇다. 서로가 서로를 외교안보 우호국으로 분류해 놓은 상태에서 심지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이 여전히 유효한 가운데 기습적으로 발동했다. 이런 건 상대 국가를 업신여길 때나 가능한 상식 밖의 행위다. 그리고 오로지 우리 경제에 타격을 주겠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 거기에 갖다 대는 이유 또한 제멋대로에다 가지가지다.

먼저, 강제징용에 관한 배상 판결로 한국이 한일청구권협정에 관한 약속을 어겼다고 하지만 이는 엄연히 민간 영역에서 일어난 주권국가의 사법적 판단이다. 게다가 지난 1991년, 순수한 개인의 청구권은 한일청구권협정으로 소멸될 수 없음을 그의 아버지 아베 신타로가 수장으로 있었던 외무성 조약국장이 의회에 나와 밝힌 적도 있다. 더구나 100여 년 전 정미7조약을 체결할 당시, 행정과 사법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대한제국을 힐난했던 그들이 아니던가?

이것 말고도 아베가 견강부회식으로 갖다 붙이는 다른 이유와 억지 논리도 조목조목 반박할 수 있지만 그래 봤자일 것이다. 어차피 아베의 목적은 한국을 조종 가능한 국가, 일정 수준 이하의 국가로 내려앉히는 데 있으니 100여 년 전 그의 선조들이 그랬던 것처럼 이 핑계 아니면 저 핑계를 대며 우길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어떻게 하면 우리가 더 이상 밀리지 않고 가던 길을 계속 갈 수 있을지에 더 힘을 쏟아야 한다.

돌아보면 지금껏 우리는 일본의 침략에 맞서 한 번도 총력 대응이란 걸 해본 적이 없다. 임진왜란 때도 그랬다. 왕은 왕권 보전을, 양반은 양반의 권리를 챙기느라 급급했고 백성은 이리저리 흩어져 이합과 집산을 거듭했다. 구한말 때도 비슷했다. 그래도 누구의 말처럼 그런 셈치곤 엄청 잘 싸웠다. 그리고 그 말은 우리가 힘을 모아 제대로 맞선다면 이길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다행히 지금의 우리는 100년 전의 우리가 아니고 일본 또한 100년 전의 일본이 아니다. 그들로 인해 결국 미국도 곤란을 겪게 될 테니 국제 정세도 우리에게 유리하다. 또한 우리가 대체재를 구하는 것에 비해 그들이 우리만 한 판매처를 구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번엔 우리가 이긴다. 극일이니 반일이니 할 것도 없이 이기고 나서 일본은 일본대로 우리는 우리대로 협력도 하고 경쟁도 하면서 살아가면 그만이다. 그러니 흥분하면 안 된다는 둥, 감정이 앞서 화부터 내면 안 된다는 둥의 소리 좀 그만하자. 을사오적, 그중에서도 이완용이 일제의 침략에 항거해 일어선 민중들에게 맨날 하던 소리가 그 소리다. 우리가 무슨 나라 없는 백성도 아니고 이럴 때 아니면 언제 화를 낸단 말인가? 화내도 된다. 흥분해도 된다. 그래야 이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