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한국은행(한은)의 기준금리 결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경기가 부진하면서 한은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것이란 예측이 제기되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달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내달에는 인하할 수 있다는 신호가 나올지도 주목된다.
한은은 오는 18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금융권에선 현재 연 1.75%인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내달 30일 회의에서는 0.25%포인트(p) 내릴 수 있다는 신호를 이번 회의에서 제시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지난 5월 회의 때 1명보다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달 12일 이주열 한은 총재는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사에서 "경제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야 하겠다"며 통화정책 방향의 전환을 시사했다.
금리 인하를 전망하는 이유는 경기 부진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2일 "수출과 투자가 부진한 흐름"이라며 4월 이후 넉 달째 경기 부진을 공식 언급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지난 4월 발표한 2.5%에서 하향 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0.2%p 하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와 반도체 경기 둔화, 설비투자 감소 등의 영향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초 2.6∼2.7%에서 2.4∼2.5%로 성장률 전망을 0.2%p 내린 바 있다.
성장률 전망치를 낮추게 되면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4일 "여러 가지 경제여건이 변화했다"며 "금융정책과 재정정책 조합이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추경 등 재정확대와 함께 기준금리 인하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금융시장에선 이달에 인하 신호를 주고 내달에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지만, 금리 인하가 이번 주에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없지 않다.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 때문이다.
시장에선 이달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내릴 것으로 보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0일 미중 무역갈등 등에 "적절하게 대응하겠다"고 했고, 이튿날 "중립금리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낮은 것 같다"고 발언했다.
일본이 핵심소재의 한국 수출을 규제하겠다고 나선 것도 금리 인하 명분을 강화하는 요인이다. 이로 인해 금리를 7월에 내릴 경우 경제상황에 따라 연말쯤 금리를 한 차례 더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