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1·15 포항지진 피해지역 도시재건 포럼 15일 서울에서 열려

"피해지역 부흥을 위한 도시재건 절대적 필요" 주장

11.15 포항지진 피해지역 도시 재건을 위한 포럼이 1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가운데, 이강덕 포항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11.15 포항지진 피해지역 도시 재건을 위한 포럼이 1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가운데, 이강덕 포항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11·15 포항지진 피해지역 도시 재건을 위한 포럼'이 1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포항시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포항시가 추진한 이번 포럼은 지진 피해로 고통받고 있는 시민들의 상황을 수도권에 알려 국민적 관심을 끌어내고, 피해 지역의 도시재건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온도차를 줄이고자 마련됐다.

이번 포럼에서 다뤄진 과제는 지진으로 삶의 터전이 붕괴된 흥해 등 피해 지역을 어떻게 재건·부흥시킬 것인지에 맞춰졌다.

포럼은 도시 재건 관련 전문가 3명의 발표, 패널 5명과 시민들의 토론 등 순서로 진행됐으며, 토론 좌장은 이명훈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가 맡았다.

김경대 한동대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전문가 발표를 통해 "피해지역을 최소화하는 기술력, 도시방재자원을 고려한 독자적인 방재계획 방법이 적용 가능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며 "주민의 복구와 생활 재건을 병행하고, 도시의 안전계획을 단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도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포항지진 특별법과 도시 재건'이란 주제로 발표에 나선 법무법인(유한) 정률 오인영 변호사는 "현행 재해복구 관련 법제의 문제점은 중앙정부가 종합지원계획안을 수립할 의무가 없고, 국책사업 지원 등 특별지원 근거가 없다는 점"이라며 "종합적이고 범국가적인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포항시는 포럼이 진행되는 동안 행사장 입구에 지진 피해 현장 사진전과 지열발전소 모형 전시, 지진 특별법 제정 소원트리 등을 설치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현재의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더 큰 도약과 발전을 이루기 위해선 정부 주도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