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일관계 악화에 재일 한국인 둘러싼 '사회적 장벽' 높아져

한국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로 여겨지는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로 한일 관계가 갈등을 빚으면서 일본 내 한국인들에 대한 '사회적 장벽'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일본 거주 소식통들에 따르면 최근 들어 한국인들은 일본인 집주인들이 꺼리는 바람에 일본에서 집 구하기가 어려워졌다. 부동산 중개업을 하는 한 소식통은 "한국 손님이 찾아와 집을 보겠다고 하면 주인이 국적을 물은 뒤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안 된다고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사실상 한국인을 안 받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일선 무역 현장에서도 장벽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 정부가 규제를 강화한 수출 품목 뿐만 아니라 한국산 물품의 수입 등 다른 부문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산 물품을 일본으로 들여오기 위한 통관 절차가 한층 까다로워져 반입을 완료하기까지 예전에는 1주일 정도면 되던 것이 지금은 2~3주일 걸릴 것으로 업계측은 예상하고 있다.

한 소식통은 "한국에 대한 눈에 보이지 않는 장벽이 높아지는 것 같다"며 "통관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용은 불어나기 때문에 한국산 물품의 수입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귀띔했다.

장사 등으로 생업을 이어가는 재일 교포들은 2012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한 뒤 나타났던 반한 열풍이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당시 도쿄 신오쿠보 등 한국인 상점들이 밀집한 거리를 찾는 일본인들의 발길이 1년여 동안 끊겨 폐업이 속출하는 등 큰 타격을 봤다.

한인 상가가 몰려 있는 신주쿠에서 주점을 운영하는 한 교민은 "한국에선 일본 상품 불매운동을 하고 있는데, 일본에선 아직 그런 움직임이 없고 영업에도 큰 지장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번 사태가 장기화하면 분위기가 바뀔 수 있어 걱정" 이라며 "양국 지도자들이 정치적인 타협을 했으면 좋겠다"고 바람을 피력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