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 설치된 자전거 전용차로 4곳 중 3곳은 불법 주정차된 차에 막혀 사실상 무용지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구청은 수억원을 들여 도로포장만 반복할 뿐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사실상 손을 놓은 상태다.
17일 오후 찾은 서구 서대구로. 이곳에 설치된 자전거 전용차로는 빽빽이 늘어선 주정차 차들 탓에 자전거 통행이 불가능했다. 자전거 운전자들은 하는 수 없이 인도로 주행하거나, 차들을 피해 곡예 운전을 할 수밖에 없었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대구시내에 조성된 자전거 전용차로는 모두 4곳(13.99㎞)이다. 서대구로(8.2㎞)를 비롯해 수성구 청수로(2.39㎞), 수성구 고산로(1.7㎞), 동구 안심로(1.7㎞)에 설치돼 있다.
문제는 자전거 전용차로에 노면의 높낮이 구분과 별도의 분리 장치가 없어 불법 주정차 천국으로 변하는 등 자전거 도로라는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것. 취재진이 확인한 결과 서대구로와 고산로, 안심로 3곳은 자전거 운행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자전거 전용차로를 관리해야 할 해당 구청은 단속에는 손을 놓은 채 도로포장만 반복하고 있다. 서구청은 지난해 11~12월 시비 1억2천만원을 들여 도로 유색포장 작업을 벌였고, 올해 들어서도 이달부터 오는 9월까지 시비 1억7천만원을 투입해 포장과 안전표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주한 서구의원은 "도로 유색포장은 자전거 전용차로 기능을 회복할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자전거가 통행할 수 없는데 포장만 반복하는 것은 예산 낭비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자전거 도로를 관리하는 광역·기초자치단체는 단속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차량 운전자와 자전거 운전자가 각자의 불편함을 들어 민원을 제기하면 해결이 쉽지 않다"고 했다. 서구청 관계자는 "애초 서대구로에 차선 규제봉을 설치했으나 사고 위험으로 대부분 철거된 상태"라며 "상시 단속을 하기에도 어려운 점이 많다"고 털어놨다.
이와 관련, 한국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자전거 전용차로의 특성상 다른 종류의 자전거 도로에 비해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며 "불법 주정차에 대한 과태료를 상향하고 자전거 운전자를 존중하는 문화를 확립해야만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7월 현재까지 대구에 조성된 자전거 도로는 모두 265개 노선으로 길이만 1천㎞가 넘는다. 자전거 도로 조성에만 300억원이 넘는 예산이 투입됐다.
※자전거 전용차로=차도의 일정 부분을 자전거만 통행하도록 안전표시나 노면표시로 구분한 것. 자전거이용활성화법에 따른 자전거 도로는 ▷자전거 전용도로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자전거 전용차로 ▷자전거 우선도로 등 4가지로 구분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