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에 '생활SOC 연계 연합기숙사' 건립… 지역사회 상생 확대

수창동 옛 대구지방국세청 교육문화관에 행복기숙사 건립 속도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활력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활력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대구 중구 수창동 옛 대구지방국세청 교육문화관에 청년 주거난 해소를 위한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연계 연합기숙사' 건립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또 내년부터 소득이 없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대학생에게 생활자금을 빌려주는 청년·대학생 햇살론이 재출시된다.

정부는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의 '청년 희망사다리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통해 청년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한다. 우선 수도권 등 주거비 부담이 높은 지역 내 교통접근성이 좋은 공공청사를 복합 개발해 직주근접형 청년 임대주택·신혼 희망 주택으로 공급한다. 정부는 향후 권역별로 신규 대상지를 추가로 발굴해 단계적으로 공급 확대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국·공유지 및 공공기관 부지에 여러 대학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합기숙사 정책도 새로운 부지를 발굴해 박차를 가한다. 정부는 올 하반기 중 신규 국·공유지를 찾아 생활 SOC 연계 연합기숙사를 만들 계획이다.

현재 대구 중구 수창동 옛 대구지방국세청 교육문화관에 행복기숙사 건립 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건설 시 지역주민이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 주차장 등 생활 SOC시설을 연계한 기숙사를 마련한다.

기숙사형 청년주택의 공급도 늘리고 입주요건도 완화하기로 했다. 오는 2022년까지 1만 명이 주거 가능한 5천 호를 공급하고, 2회 이상 입주자 모집 공고 이후 발생하는 공실에 한해 소득요건을 완화할 예정이다.

취약 청년을 위한 사회안전망도 강화한다. 저소득·저신용 청년에게 최대 1천200만원까지 생활자금을 빌려주는 청년·대학생 햇살론을 내년에 다시 출시한다.

주거 외에 학자금 대출부담도 완화한다. 현재 석 달 이상 연체하면 9%의 금리를 물리고 있는 지연배상금 부과체계를 올해 대출까지는 6% 고정금리로, 내년 1학기 신규 대출부터는 기존 대출금리에 2.5%의 가산금리만 덧붙이는 방식으로 변경한다.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저축계좌'도 새로 만든다. 차상위계층 청년이 월 10만원 저축할 때 정부가 근로소득 장려금 30만원을 매칭, 3년 뒤에 1천440만원을 모을 수 있게 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