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군소정당 정치실험 마치나,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분당 조짐

연동형 비레대표제 도입하지 않으면 양당구도 깨기 힘든 구조적 한계
정책 아닌 대선주자 중심 정당 구조와 운영행태도 국민외면 불러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오른쪽)가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윈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오른쪽)가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윈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의 내홍이 상시화하면서 군소정당의 정치실험이 한계에 부딪힌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최근 당 쇄신 주체와 방향을 두고 당권파와 비당권파가 충돌하면서 '합의 이혼'까지 거론되고 있다.

민주평화당은 소속 국회의원 가운데 60% 이상이 공개적으로 제3지대 신당창당에 찬성할 정도로 정동영 대표 체제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지난 11일 주대환 혁신위원장 갑작스런 사퇴 후 내분이 계속되고 있다. 손학규 대표를 주축으로 하는 '당권파'와 유승민·안철수계의 연합인 '반당권파'가 연일 대립을 지속하며 '한지붕 두가족'이 될 위기다.

평화당은 사실상 분당수순을 밟고 있다. 평화당 반당권파는 지난 17일 제3지대 창당 준비를 위해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대안정치)'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김종회·박지원·유성엽·윤영일·이용주·장병완·장정숙·정인화·천정배·최경환 의원 등 10명(당 소속 전체의원 16명)은 이날 창당준비 기구인 '대안정치' 결성을 선언했다.

대안정치 측은 현재 체제에서 총선승리가 어렵다고 보고 제3지대 구축을 위해 정동영 대표의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을 요구했다. 하지만 정 대표는 18일 당내 제3지대 모색을 위한 대변화추진위원회 구상을 밝히며 맞불을 놨다.

정치권 관계자는 "두 정당이 사활을 걸고 있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도가 도입되지 않으면 차기 총선에서도 거대양당 구도가 뻔하다고 판단한 의원들이 정계개편에 앞서 살 길을 모색하는 중"이라며 "두 정당이 기존 거대양당과 차별화된 정책을 선보이지 못하면서 국민적 성원을 이끌어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