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기업 6.9% "일본 수출규제 피해"

대구상의 "수출규제품목 확대될 경우 45%가 피해 입을 것으로 전망"

대구기업 6.9%가 일본 수출규제로 직접적 피해를 입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6일 오후 한 마트 매장에 붙은 일본산 제품 판매중단 안내문. 연합뉴스
대구기업 6.9%가 일본 수출규제로 직접적 피해를 입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6일 오후 한 마트 매장에 붙은 일본산 제품 판매중단 안내문. 연합뉴스

일본의 수출규제가 확대된다면 대구의 상당수 기업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대구상공회의소가 이달 12~15일 회원기업 160곳(제조업 125개사, 유통서비스업 18개사, 건설업 10개사, 기타 7개사)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다.

대구상의가 22일 발표한 '일본의 수출규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수출규제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다는 기업은 응답자 중 6.9%에 그쳤다. 하지만 수출규제 품목이 확대되거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에는 45.2%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구체적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40.3%가 '규제품목 확대'를 우려했다. 또 '경기 침체 우려'라는 응답이 38.9%, '일본 바이어와의 관계 소원'라는 응답이 12.5%로 뒤를 이었다.

실제로 피해를 호소한 기업 중에서는 여행사와 자동차부품업체, 섬유제조업체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여행사는 일본 관광객 및 일본 바이어 방문 중단, 일본행 예약 취소 피해를 입었다. 섬유·자동차부품업계는 주로 수출 감소를 지적했다.

대구상의는 아직까지는 대구 경제에 일본 수출규제가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수출 제한 품목이 확대된다면 피해 사례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봤다. 현재 일본 수출규제 대상 품목은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에 쓰여 대구 주력업종과 관계가 적지만 향후 품목이 확대될 경우 자동차부품, 기계 등 대구에서 비중이 큰 업종이 직접적 타깃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밖에 응답기업 55.3%는 이번 사태의 원만한 해결을 바란다고 답했다.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은 9.6%에 그쳤다.

이재경 대구상의 부회장은 "일본은 대구의 3대 교역국으로서 경제 구조상 일본과의 관계 악화는 지역경제에 찬물을 끼얹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