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진 잇따르는 경북, 체계적인 연구 더 늦추지 않아야

21일 경북 상주시 외서면 관현리 마을에서 규모 3.9의 지진이 발생해 멀리 서울까지 지진 여파 신고가 이어졌다. 이날 낮 12시 현재 이 같은 지진 유감 신고는 265건에 이르렀으나 다행히 피해 접수는 없었다. 상주에서는 앞서 20일 0시 38분쯤에도 규모 2.0의 지진이 일어났다. 그런데 21일 상주 지진은 1978년 9월 16일의 규모 5.2 이후 가장 컸던 만큼 이에 대한 대비 목소리가 높다.

이번 상주 지진은 결코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먼저 지진의 규모가 그렇다. 2016년 9월 12일 경주의 5.8 지진과 2017년 11월 15일 포항시 북구 흥해읍의 5.4의 지진에 이은 세 번째이다. 게다가 올 들어 한반도와 주변 바다에서 일어난 지진으로도 4월 동해 해상(4.3)과 2월 포항 해상(4.1)에 이은 규모이다. 특히 21일 발생한 상주 지진 유형이 1978년 당시와 비슷한 형태로 알려졌고, 단층 움직임에 따른 지진으로 분석돼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경북에서 지진 발생 빈도를 보면 걱정스럽다. 기상청에 따르면 2015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지진은 모두 684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경북에서 일어난 지진만 391건(57%)에 이르렀다. 경북에서 발생한 지진은 2015년 44건에 10건(22.7%), 2016년 252건에 185건(73%), 2017년 223건에 127건(57%), 2018년 115건에 52건(45%)이었다. 올해는 50건에 17건(34%)을 차지했다. 전국에서도 경북도의 지진이 잦다는 증거인 셈이다.

경북도는 이런 통계를 주시해야 한다. 이번 상주 지진에서 나타난 것처럼 내륙도 결코 안전지대일 수 없어서다. 큰 규모의 지진도 알 수 없다. 철저한 대비만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길이다. 전문적인 지진 연구와 대비를 위한 경북도의 국립지진방재연구원 경주 설립 요청을 정부가 거절했지만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정부에 방재원 설립을 촉구하고 설득해야겠지만 그렇다고 정부만 바라볼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기에는 사안이 가볍지 않다. 먼저 경북도라도 나서 지진을 연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