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포항 마린온 추락사고 순직 장병 유가족 "김조원 KAI 사장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 반대" 성명

"사고 책임 있고, 피고소인 신분인데도 민정수석 앉히려는 정부의 의도가 의심된다" 주장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25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을 교체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후임 민정수석으로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25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을 교체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후임 민정수석으로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이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1년 전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MUH-1) 추락사고로 순직한 장병 5명의 유가족들이 2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김조원 사장의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을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순직 장병 유가족들은 "자신의 회사(KAI)가 제작한 헬기의 프로펠러가 통째로 날아가는 바람에 헬기가 추락해 무고한 젊은 장병들이 희생됐는 데도 지금껏 단 한 번도 책임 있는 사죄를 한 적이 없다"며 "책임을 외면하는 KAI 사장이 민정수석 자리에 앉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순직 장병 유가족이 헬기 추락사고 직후인 지난해 7월 KAI를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혐의로 검찰에 고발해 현재 김 사장이 피고소인 신분인데도 청와대 중책에 앉히는 것은 의도를 의심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김 사장이 민정수석으로 임명될 경우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헬기 추락사고 이후 보인 현 정부의 무성의·무책임한 태도가 김 사장의 민정수석 임명으로까지 이어지며 유가족들에게 수모를 주고 있다"며 울분을 토했다.

유가족에 따르면 장병 5명이 순직했는 데도 문재인 대통령은 조문도, 별도의 공식 애도 성명도 낸 적이 없었고, 오히려 영결식 후 SNS에 조문의 글을 올려 유가족들의 공분을 샀다. 청와대는 헬기 추락사고가 난 다음 날인 지난해 7월 18일 사고 헬기 마린온의 원형인 수리온(KUH-1) 성능과 기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유가족들은 "피고소인인 김조원 사장을 임명하는 것을 국민의 이름으로 반대한다. 가족을 죽음에 이르게 하고도 책임을 회피하는 사람이 결코 민심을 살펴 국정을 펴는 자리에 설 수 없다"고 말하며 성명을 맺었다.

마린온 추락사고는 지난해 7월 17일 포항 해군6항공전단 비행장에서 KAI 측의 정비를 받은 뒤 시험비행을 하던 중 발생했다. 당시 마린온은 이륙한 지 불과 4초 만에 프로펠러가 떨어져 나갔고, 이 사고로 탑승 장병 5명이 목숨을 잃고 1명이 큰 부상을 입었다.

김조원 청와대 민정수석 임명 내정자는 2017년 10월 KAI 사장으로 취임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