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난해 대구경북 국세 -3.1%…8년 만에 감소세

경기 침체 여파로 법인세와 부가가치세 하락 폭 컸기 때문

2018년 기준 지역별 전년 대비 국세 증감률 현황.
2018년 기준 지역별 전년 대비 국세 증감률 현황.

지난해 대구경북의 국세 수입이 8년 만에 감소했다. 경기 침체 영향으로 법인세, 부가가치세가 큰 폭으로 준 탓이다. 특히 경북은 전국에서 대전 다음으로 높은 국세 감소율을 보이는 등 기업 실적 둔화, 소비 위축 여파가 나타났다.

28일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경북 국세 수입은 11조1천2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보다 3.1% 줄어든 것으로, 2010년(-24.3%)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국세가 감소했다. 반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국세는 283조5천355억원으로 전년보다 10.9%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대구는 1.4% 증가했고, 경북은 7.9% 감소했다. 경북의 감소 폭은 전국 16개 광역지역 중 대전(-14.6%) 다음으로 높았다. 경북은 2010년(–42%) 이후 처음으로 국세가 줄었고, 대구는 2010년(1.3%)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법인세와 부가가치세가 줄었기 때문이다. 법인세의 경우 지난해 대구(-21.2%)와 경북(-17%) 모두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전국적으로 법인세가 19.9% 증가한 것과 상반된 흐름이다. 부가가치세 역시 우리나라 전체가 4.4% 늘어난 반면 대구(-0.7%)와 경북(-33.8%)은 모두 줄었다.

대구경북 국세에서 법인세, 부가가치세 비중은 각각 25.6%와 18.4%로 소득세(47.2%) 다음으로 크다. 이 때문에 지난해 소득세가 대구와 경북에서 각각 14.6%, 4.4% 늘었지만 법인세와 부가가치세가 줄면서 전체 국세가 감소했다.

지역의 이 같은 법인세, 부가가치세 감소는 향토기업의 실적 둔화,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 위축 탓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역기업 상황이 좋지 않고 소비도 정체돼 있어서 국세 수입이 크게 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