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치권은 지금 '청년' 구애중…여야 '청년 대변인' 도입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22일 오후 충청북도 단양 대명리조트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22일 오후 충청북도 단양 대명리조트에서 열린 '2019 자유한국당 청년전진대회'에 참석, 참가자들과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내년 총선을 대비해 '청년'을 앞세우며 청년층 구애에 한창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젊은 유권자의 지지를 이끌어내려는 전략으로 '청년'이라는 키워드에 집착하기 보다 주요 당직과 공천과정에서 청년 정치인을 과감히 등용하고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정치권에서 '청년 친화 정당'으로 거듭나는 데 가장 적극적 행보를 보이는 곳은 자유한국당이다.

한국당은 지난달 19일 자발적 지원, 시·도당과 당협위원회 추천 방식 등을 통해 172명의 대학생·대학원생 지부장을 모집했다. 또 이달 22일에는 서울 영등포 중앙당사에서 대학교 지부장 워크숍도 열었다. 지난달 20~30대에서 임명된 청년 부대변인 10명도 매일 평균 2건 이상 주요 현안 논평을 작성하거나, 한국당 공개 행사에서 사회를 맡으며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당 중앙대학생위원회는 다음 달 중순 대학생 위원 간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1박 2일 캠프를 계획 중이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내달 중 오디션을 통해 35세 이하 남녀 한 명씩 중앙당 상근부대변인 겸 청년대변인으로 뽑는다.

선발된 청년대변인은 청년 정책 홍보를 전담하고 당 대표의 주요 일정에 동행한다. 민주당은 이를 통해 청년의 정치 참여를 확대하는 한편, 관심 사안에 즉각적으로 의견을 수렴·전달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정의당도 청년 몫의 대변인을 뽑기로 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 관계자는 "여야가 앞다퉈 청년 대변인제를 도입하고 있지만 이들이 실제 청년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며 더욱이 이러한 것이 일회성 이벤트에 그쳐서는 실효성 있는 효과를 내기 어렵다"며 "21대 총선을 앞두고 '구색 갖추기'라는 오명을 얻지 않으려면 정치권 모두가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