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중음악에서 '트로트'만큼 숱한 시련을 겪으면서도 오랜 사랑을 차지해온 장르도 없을 것이다. 일제강점기 민족의 망향가이자 저항가로 등장해 겨레의 곡절 많은 여정과 함께하며 영욕의 세월을 건너온 트로트. 그것은 고단한 서민의 애환을 위무해온 슬프고도 흥겨운 우리네 삶의 동반자였다. 격동의 현대사를 관류하며 시대의 감성을 고스란히 담아온 소중한 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일본 엔카의 한국 버전인 트로트가 한반도에 상륙한 것은 1935년 '목포의 눈물'을 통해서였다. 그 후 '애수의 소야곡' '나그네 설움' 등과 함께 망국의 한을 달래며 명실공히 대중가요의 주류로 등극한 것이다. 광복 후 한국의 역사 속에서도 트로트는 부활을 거듭했다. 6·25전쟁 당시의 '단장의 미아리고개'와 '굳세어라 금순아'는 전쟁의 고통을 어루만졌다.
1960년대 이미자의 '동백아가씨'는 트로트 선풍을 다시 일으켰지만, '왜색'으로 몰려 무더기 금지되는 파란도 겪었다. 1970년대 '트로트 고고'와 1980년대 '메들리 붐'으로 변신한 트로트는 '뽕짝'이라는 비속어를 낳기도 했다. 트로트의 '국적 논쟁'이 벌어진 것도 이때였다. '뽕짝은 청산해야 할 일제의 문화적 잔재'라는 일각의 주장에 관련 전문가들의 반박과 재반론이 한동안 전개되었다. 하지만 결말은 흐지부지 끝나고 말았다.
1970년대 일본에서도 '엔카 논란'이 있었다. '일본 엔카의 천황'이라 불렸던 고가 마사오(古賀政男)가 "엔카의 뿌리는 조선이다"라는 폭탄선언을 한 것이었다. 그 배경이 무엇이었을까. 우선 그는 청소년기를 식민지 조선에서 보냈기 때문에 우리 가락이 낯설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그보다는 한국인들의 음악적 재능에 굴복한 심리적 상황에서 돌출한 발언이 아니었을까?
그는 쇼와시대 최고의 히트곡인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를 만든 자신보다 식민지 조선의 히트 가요 '애수의 소야곡'을 작곡한 박시춘의 음악성이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1950, 60년대 일본 열도를 풍미한 불세출의 엔카 여왕 미소라 히바리도 한국 혈통이었다. 사실 일본 엔카계의 스타급 가수와 작곡가의 절반 이상이 한국계였던 것이다.
트로트는 한국인의 음악적 감수성에 더 적합하다는 주장도 있다. 과장된 감성을 표출하기 마련인 트로트 음악이야말로 감정을 자제하는 일본의 미학보다는 농현(弄絃)과 요성(搖聲)의 진폭이 깊고 유장한 한국인의 흥취에 더 어울린다는 것이다. 아무튼 트로트는 서구 문화의 일본식 퓨전이고, 일본에서 들어온 음악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 그럴 필요도 없다.
세월 따라 한국인의 정서로 자리 잡은 트로트는 그 음악적 완성도 또한 일본을 추월했다. 트로트가 우리 전통음악이라고 억지 주장을 할 이유도 없고, 왜색 논쟁에 휘둘릴 까닭도 없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일본보다 더 잘한다는 것이다. 한일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작금의 현실을 보면서, 우리 정치와 경제도 이렇게 일본을 넘어설 수 없을까 하는 하소연을 해본다. 문화도 그렇다.
21세기 '뉴 트로트' 바람에 힘입어 바야흐로 '트로트 르네상스' 시대가 열리고 있다. '미스 트롯'이라는 방송 프로그램과 신세대 트로트 스타 탄생에서 보듯이 다시금 전 세대가 공감하는 대중가요로 거듭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음악성 향상을 위한 형식과 내용의 혁신만 이루어진다면, 우리 고유의 정서와 한국의 멋을 담은 '트로트의 한류'도 기대해볼만하다. 이것이 곧 극일(克日)이다.
댓글 많은 뉴스
12년 간 가능했던 언어치료사 시험 불가 대법 판결…사이버대 학생들 어떡하나
[속보] 윤 대통령 "모든 게 제 불찰, 진심 어린 사과"
한동훈 "이재명 혐의 잡스럽지만, 영향 크다…생중계해야"
홍준표 "TK 행정통합 주민투표 요구…방해에 불과"
안동시민들 절박한 외침 "지역이 사라진다! 역사속으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