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여당, '친일 대 반일' 프레임으로 내년 총선 치를 텐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2주째 상승하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천5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95% 신뢰 수준 ±2.0%p) 결과 문 대통령 지지율은 전주 대비 0.3%포인트 상승한 52.1%를 기록했다. 민주당 지지율은 43.2%로 올해 최고치를 나타냈다.

경제 위기 등 숱한 악재에도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이 상승한 것은 일본의 경제 보복 이후 촉발한 반일 감정 확산과 일본에 대한 정부의 강경 메시지 효과 때문이다. 더 깊게 들여다보면 일본의 경제 보복을 초래한 원인에 대한 책임을 문재인 정부에게 묻는 보수 야당을 친일 세력으로 몰아붙인 문 대통령과 청와대·민주당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적'(利敵) '친일파' 등 원색적이고 자극적인 표현까지 동원해 구축한 '친일 대 반일' 전선이 지지층 결집과 지지율 상승에 효과를 봄에 따라 집권 세력이 내년 총선까지 이 프레임을 끌고 갈 것이란 전망마저 나온다.

애초 내년 총선에서 여야는 '문 정부 심판론 vs 야당 심판론'으로 한판 승부를 벌일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친일 대 반일 프레임이 형성됐다. 내년 총선에서 경제 실패와 외교·안보 무능을 덮으려고 집권 세력이 친일 대 반일 구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이 프레임이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 상승을 가져온 것을 고려하면 집권 세력으로서는 내년 총선에서 이를 써먹으려는 유혹을 강하게 느낄 수밖에 없다. 벌써 여권에서 '내년 총선은 한일전'이란 말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광복 70년이 넘은 대한민국에서 친일 대 반일이란 퇴행적 프레임이 난무하는 것은 국익과 나라의 미래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더욱이 집권 세력이 총선 승리를 위해 이를 활용하면 국민은 용납할 수 없다. 반일 감정을 선동하며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행위를 표로 심판할 것이다. 지금은 친일이냐 반일이냐로 다툼할 때가 아니라 냉철한 이성을 토대로 일본을 이길 방안을 찾고 힘을 다해 실천해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