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천명당 태어나는 아이 연간 6명도 안돼"…5월 출생아 역대 최저치

5월 인구동향, 대구경북 조출생률 바닥권  

통계청이 30일 공개한
통계청이 30일 공개한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5월 출생아 수는 총 2만5천300명으로, 1년 전보다 2천700명(9.6%) 줄었다. 연합뉴스

지난 5월 기준 출생아 수는 통계 집계 이래 월별 최저 기록을 3년 2개월 연속으로 경신했다. 사망자수는 역대 최고치, 혼인건수도 역대 최저치를 각각 기록했다.

5월 기준 조출생률(인구 1천명 당 연간 출생아 수)는 5.8명으로 집계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5명 대로 떨어졌다.

대구의 조출생률은 5.3명으로 특·광역시 8곳 중 7위였고, 경북은 5.2명으로 9개 도 중 밑에서 두 번째였다. 다른 시도에 비해 심각한 대구경북의 저출산 극복 대책이 절실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런 추이라면 하반기 중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지르는 인구 '자연감소'가 나타날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졌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5월 출생아 수는 2만5천3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천700명(9.6%) 줄었다.

연초에 출생아 수가 집중되는 경향을 고려할 때 올해 출생아 수가 30만명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출생아수는 5월 기준으로 보면 1981년 통계를 집계한 이래 역대 최저치이다. 또 2016년 4월부터 올해 5월까지 38개월 연속으로 월별 역대 최저치를 써내려갔다.

1∼5월 누계 출생아 수는 13만4천5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약 1만1천명 줄었다. 반면, 5월 사망자 수는 1년 전보다 700명(2.9%) 늘어난 2만4천700명으로 집계됐다.

5월 기준으로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많았고, 이 영향으로 자연증가분(출생-사망)은 600명에 그쳤다.

혼인은 2만3천100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천900건(7.6%) 감소했다. 반면, 이혼 건수는 1년 새 200건(2.1%) 늘어난 9천900건으로, 같은 달 기준 2013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았다. 황혼 이혼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 번 추계를 통해 올해 출생아수를 30만9천명으로 예상한 바 있다"며 "출생아 감소 추이가 계속되고 있어 올해 중 인구 자연감소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