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역난방공사가 LNG보다 값싸고 공해도 더 많이 배출하는 벙커C유를 연료로 쓰고도 타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비싼 난방요금을 대구 사용자에게 물려 원성을 사고 있다. 대구 경실련은 5일 성명서에서 '공사 측의 불합리한 난방요금 체계로 시민이 피해를 입고 있다'며 열 생산원가 공개를 촉구했다. 지역 시민단체 주장대로라면 1997년 성서열병합발전소 준공 이후 20년 넘게 벙커C유를 연료로 쓰면서 시민 건강을 위협한 것도 모자라 요금 바가지를 씌어온 것이다.
현재 지역난방을 쓰는 세대는 달서구 성서·대곡지구 등 10만9천여 가구다. 알려진 대로 벙커C유의 열 생산단가는 LNG의 61% 수준이다. 가격도 LNG보다 20%가량 더 저렴하다. 이는 연료를 적게 쓰고도 LNG와 동일한 난방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지역난방공사는 납득하기 힘든 난방요금 체계로 자기 배를 불려왔다. 몇 해 전 언론이 벙커C유 연료 비용 등으로 추산한 결과 LNG기준 난방요금 징수로 공사 측이 거둔 수익이 연간 109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폭리를 취했다는 말이다.
무엇보다 벙커C유는 LNG와 비교해 미세먼지·황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을 훨씬 더 많이 배출한다. 먼지는 54배, 황산화물은 무려 1천500배가 넘는다. 그런데도 18개 지역난방공사 지사 중 20년 넘게 벙커C유를 연료로 쓰는 곳은 대구와 청주뿐이다. 그동안 지역난방공사가 이런 문제점을 알고도 쉬쉬해온 것은 매우 부도덕한 행위다. 게다가 이달부터 지역난방 요금을 3.79%나 인상해 지역 사용자를 아예 무시하고 우롱했다.
대구시는 시민을 속이고 과다한 이익을 챙겨온 지역난방공사에 빠른 시정을 주문하고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지난해 벙커C유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 문제가 지역사회에 큰 이슈가 되자 공사 측은 성서열병합발전소 연료를 2021년까지 LNG로 교체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도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철저히 감독할 필요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