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앙도서관 vs 국채보상운동 기념 도서관

일제 잔재 지우고 대구 시민정신 깃든 도서관으로 vs 중앙도서관의 역사성, 상징성 보존해야

올해로 100주년을 맞은 대구시립중앙도서관. 대구시는 중앙도서관을 리모델링해
올해로 100주년을 맞은 대구시립중앙도서관. 대구시는 중앙도서관을 리모델링해 '국채보상운동 기념 도서관'으로 새롭게 개관할 계획이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시가 28일 올해 100주년을 맞은 '중앙도서관'을 리모델링해 '국채보상운동 기념 도서관'으로 새롭게 개관하겠다고 밝히면서 명칭 변경을 둘러싼 논란이 사그라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해 9월부터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관(기록관) 건립을 추진해 왔으나, 대구시의회 및 학계 등으로부터 반대 여론이 쏟아졌기 때문.

반대 여론의 골자는 대구 근대 역사의 한 축이자 시민들의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중앙도서관이 아카이브관 건립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것이다.

이달 10일 설립 100주년을 맞은 중앙도서관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중 두 번째로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1919년 경북도청 내 뇌경관에 대구부립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한 이후 몇 차례 이전과 개보수, 이름 변경을 거쳐 1985년 12월부터 현재의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내에 자리 잡았다. 독립신문 영인본 등 보존 가치가 높은 자료들이 많고, 2017년 한 해 이용자만 160만명에 달했다.

대구시는 아카이브관을 조성한다고 해서 이 같은 도서관의 역사성과 상징성이 사라지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강조했다.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이달까지 교육청 및 중앙도서관 관계자들과 여섯 차례 만나 복도, 계단 등 도서관 유휴 공간을 활용해 아카이브관을 조성한다는 방침을 협의했다.

현재 도서관 면적(4천500㎡)과 서고 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국채보상운동 기록관과 박물관을 얼마든지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시는 아카이브관이라는 명칭이 시민들에게 거리감을 주고 오해를 산다고 판단, 국채보상운동 기념 도서관으로 명칭을 조정했다.

명칭 변경에는 '중앙'이라는 용어가 일제의 잔재라는 측면도 작용했다. 충북중앙도서관 경우 지난 1월 이미 충북교육도서관으로 이름을 바꿨다. 1985년부터 중앙도서관으로 불렸으나 '중앙'이란 지명이 일제 잔재 느낌을 준다는 이유에서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중앙도서관의 이름만 바뀔 뿐이다. 도서관의 역사성과 상징성은 결코 훼손하지 않는다"며 "무엇보다 1907년 2월 대구 사람들이 시작한 국채보상운동은 일본에 빌린 돈을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독립 투쟁이었다. 국채보상운동 정신이야말로 대구가 계승, 발전해야 할 가장 소중한 자산"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