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국 논란에 서울교통공사 소환?…'조국 펀드' 지하철와이파이 사전 수주 의혹에...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와 가족이 투자한 사모펀드 운용사 코링크PE가 서울 지하철 와이파이 사업을 수주한 것을 두고 의혹이 불거지면서 서울교통공사가 난처한 입장에 처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교통공사)는 2일 "입찰은 기준대로 공정하게 진행됐다"라며 "이 사업을 수주한 컨소시엄의 자금 출처까지는 확인이 불가능했다"라고 밝혔다.

교통공사는 2017년 9월 공공와이파이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PNP플러스컨소시엄을 선정했다가 올해 4월 선정을 취소했다. 컨소시엄은 이동통신서비스 면허 등 결격사유를 해소하지 못해 선정이 취소됐다고 교통공사는 설명했다.

PNP플러스컨소시엄은 조국 후보자와 가족이 투자한 사모펀드의 운용사 코링크PE에 투자유치를 위임한 곳으로 이 컨소시엄이 수주한 사업은 시설 구축비와 운용비를 포함해 7년간 총 1천2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사업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입찰 진행 과정에 조국 후보자 측이 부정한 방법으로 개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교통공사는 입찰진행 과정을 따져보면 수주처를 미리 사전에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교통공사에 따르면 입찰 진행과정에서 정보통신·경영 분야 등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인력풀을 바탕으로 최종 심사위원 9명의 3배수인 27명을 예비후보 명부에 올려놓고 평가 당일 입찰 참여업체의 추첨에 따라 최종 인원을 선정했다. 그리고 당일 평가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결정해 다음날 발표했다.

심사기준은 정량평가 20점, 정성평가 60점 등 기술점수 80점과 가격점수 20점 등 총 100점이었다. 입찰 참여자가 제출한 제안서를 두고 담당자가 정량평가를 먼저 수행했고, 정성평가와 가격점수는 제안서 평가 당일 심사위원들이 평가했다.

교통공사는 컨소시엄의 자금출처가 조 후보자와 관련이 있었는지도 알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입찰에서는 자격 등 사업계획을 평가했다"며 "해당 컨소시엄의 자금이 어디로부터 왔는지 알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