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 2045년에 노인비중 세계 최고…"가장 빠르게 고령화"

고령인구 비중 일본보다 높아져…2067년 韓인구의 46.5%는 노인

우리나라가 2045년에 세계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된다. 반면 생산연령인구는 급감해 2067년 한국의 총부양비는 120.2명, 노년부양비는 102.4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이 될 전망이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45년 37.0%로 일본(36.7%)을 넘어선다. 유엔의 201개국에 대한 세계인구전망과 통계청의 2017∼2067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비교분석한 결과다.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9년 14.9%에서 2067년 46.5%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커진다. 하지만 세계 인구 중 고령인구 비중은 평균 2019년 9.1%에서 2067년 18.6%까지 늘어나는 데 그친다.

우리나라의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12년 73.4%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해 2019년에는 72.7%로, 2067년에는 45.4%까지 떨어진다. 고령인구는 늘어나고 생산연령인구는 줄면서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2019년 37.6명에서 2067년 120.2명으로 치솟는다.

특히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9년 20.4명에서 2067년 102.4명으로 5배로 급증하게 된다.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100명을 넘어서면서 세계 최고로 치솟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중위연령은 2020년 43.7세에서 2065년 62.2세로 치솟는다. 중위연령은 총인구를 연령순서로 나열할 때 중앙에 있게 되는 사람의 연령을 뜻한다.

한편 한국 인구는 2028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올해 5천200만명에서 2028년까지 소폭(23만명) 증가하다가 이후 계속 감소해 2067년 3천9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의 2015∼2018년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 평균은 1.11명으로 세계 최하위 수준으로 떨어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