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특사 "탈레반과 평화협정 초안 합의…미군 5천명 철수"

9차례 협상 끝 타결…아프간 대통령 동의·트럼프 대통령 승인받아야
"휴전은 아프간인끼리 협상"…카불에선 대형 폭발로 16명 사망, 119명 부상

2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에서 아슈라프 가니(가운데) 대통령이 미국의 잘메이 할릴자드(왼쪽 앞) 아프간 특사와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에서 아슈라프 가니(가운데) 대통령이 미국의 잘메이 할릴자드(왼쪽 앞) 아프간 특사와 회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에서 2일(현지시간) 새벽 두 남성이 시가지를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서 있다. 잘메이 할릴자드 아프가니스탄 주재 미국특사는 이날 현지 톨로뉴스와의 회견에서 미국이 아프간에서 135일 이내에 약 5천명의 병력을 철수하고 5개 기지를 폐쇄하는 내용이 포함된 평화협정 초안을 탈레반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에서 2일(현지시간) 새벽 두 남성이 시가지를 내려다보는 언덕 위에 서 있다. 잘메이 할릴자드 아프가니스탄 주재 미국특사는 이날 현지 톨로뉴스와의 회견에서 미국이 아프간에서 135일 이내에 약 5천명의 병력을 철수하고 5개 기지를 폐쇄하는 내용이 포함된 평화협정 초안을 탈레반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잘메이 할릴자드 아프간 평화협상 관련 미국 특사는 2일(현지시간) 미국이 아프간에서 135일 이내에 약 5천명의 병력을 철수하고 5개의 기지를 폐쇄하는 내용이 포함된 평화협정 초안을 탈레반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과 현지 매체에 따르면 9차 평화협상을 마친 할릴자드 특사는 이날 아프간 현지 톨로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탈레반과 수개월 간 협상 끝에 합의에 도달했다며, 서명하기 전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탈레반은 대신 알카에다나 이슬람국가(IS)와 같은 무장단체가 미국이나 그 동맹에 대한 공격을 모의하는 데 아프간이 이용되지 않도록 약속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그러나 이 인터뷰가 방송되는 동안 수 킬로미터 떨어진 수도 카불에서 대형 폭발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아프간의 평화까지 가야 할 거리를 보여줬다고 로이터는 평가했다.

할릴자드 특사는 이 협정의 목표는 종전이 아니며, 공식적인 휴전협정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휴전 협정은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 등 아프간인들끼리 협상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할릴자드 특사는 현재 1만4천명 규모인 미군이 1단계로 철수한 후에 잔류군이 얼마나 오래 머물러 있을지에 대한 언급은 피했다. 탈레반은 모든 외국 군대가 떠나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앞으로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의 아프간 정부와 탈레반 간 협상이 마련될 예정이라 이번 협정이 효력을 얻으려면 아프간 정부 측의 동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탈레반은 현 정부를 불법적인 꼭두각시 정권으로 간주하며 직접 협상을 거부해왔기 때문에 향후 협상의 세부적인 내용은 불명확하게 남아 있다고 로이터는 평가했다.

이런 가운데 할릴자드 특사가 카불을 찾아 가니 대통령에게 평화협정에 대한 브리핑을 한 이후 몇 시간 만에 수도 카불에서 대형 폭발로 인해 16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119명이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자살폭탄과 총격을 합친 공격이 이뤄졌다"며 탈레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