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경주 남산자락의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일대에 조성 중인 지방정원(화랑정원)을 국내 제3호 국가정원으로 유치할 작정이어서 선정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전남권의 순천만정원(2015년), 경남권의 울산 태화강정원(2019년)이 국가정원인 만큼 경북·동해안권 주민을 위해 국가정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견해다.
4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경주시 남산동 703-3 일대 경북산림환경연구원 부지 33ha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도비 각각 50억원씩 모두 100억원을 투입, 천년미소원·가든센터·편의시설 등을 갖춘 화랑정원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산림환경연구원 내 산림자원을 바탕으로 신라왕경의 상징성을 부여하고, 신라 이야기를 담아낸 스토리텔링 공간을 구성해 산림문화 관광명소이자 랜드마크로 육성할 작정이다.
특히 경북도는 경주 화랑정원이 지난 7월 시행된 개정 정원법의 국가정원 요건에 맞는 최적의 후보지라고 판단한다. 국가정원 지정의 가장 큰 난관인 최소 면적 기준 30ha를 넘겨 요건에 적합한 데다 이미 연구원이 운영되고 있어 정원관리 조직과 인력, 편의시설 등을 갖추기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후 화랑정원 운영을 위한 조례, 3년간의 운영 실적 등을 충족하면 국가정원 유치에 나설 수 있다. 경북도는 국가정원 지정 시 각종 국비 지원 혜택은 물론 정원 인지도 상승으로 방문객이 증가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이번 법 개정으로 경북도가 그간 추진해왔던 경북도청 신도시 국가정원 조성 사업(매일신문 2018년 12월 31일 자 2면)은 물건너 가게 됐다.
아직 조성을 시작도 안 한 도청신도시 공원에 수백억원의 지방비를 투입, 지방정원을 조성한 뒤 3년간 운영 실적을 얻어 다시 국가정원 유치에 나서는 것은 부담이 너무 크다고 봤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청신도시 국가정원 유치 계획이 수년간 준비에도 결실을 얻지 못해 아쉽다"면서도 "화랑정원은 한창 조성 중이며 차후 전망이 밝은 만큼 국가정원으로 지정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