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레탄 시설이 설치된 대구 학교 중 절반 이상에서 유해물질이 허용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 신학기가 시작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가운데 대구시교육청은 이들 학교 시설에 사용 제한 조치를 내리고 개·보수 작업에 들어갔다.
6일 시교육청은 학교 운동장의 인조 잔디, 우레탄 트랙뿐 아니라 농구장 등 우레탄 시설이 설치돼 있는 모든 학교(126개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구 서구 달서초등학교 등 72개교(57%)에서 유해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성분이 허용 기준치(0.1%)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이 과다 검출된 학교는 초교 40곳, 중학교 20곳, 고교 10곳, 특수학교 2곳 등이다. 학교 일부에선 해당 유해 물질이 기준치의 최고 50배를 넘겼다.
앞서 시교육청은 2016년에도 전수 조사를 벌였다. 당시에는 우레탄 운동장이 설치된 231개 학교 중 160개교에서 또 다른 유해물질인 납이 허용기준치를 넘었고, 시교육청은 모두 165억원의 예산을 들여 전부 철거한 바 있다. 당시 초교는 마사토로, 중·고교는 제한 물질 허용기준치 이하로 운동장을 재조성했다.
프탈레이트는 2017년 한국산업표준(KS)이 개정되면서 납, 카드뮴, 크롬, 수은과 함께 우레탄 운동장 제한 물질에 포함됐다.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려고 사용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피부나 눈에 자극을 주고 성장도 방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전수조사 결과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난 학교의 운동장은 폐쇄된다. 가정통신문과 안내문을 통해 학부모와 시민들에게도 이 사실을 알린다.
또한 시교육청은 8억원을 긴급히 투입해 이달 중 해당 학교의 우레탄 소재 트랙과 운동장을 걷어내기로 했다. 내년에는 본예산 98억원을 편성해, 모두 마사토 운동장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임오섭 시교육청 체육보건과장은 "학교 강당 등을 사용하게 하는 한편 최대한 빨리 공사를 추진해 수업하는 데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앞으로 강화되고 있는 환경 기준을 고려해 학교에 인조잔디와 우레탄 시설을 설치하는 건 지양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