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DI, "경제 전반적으로 부진… 대내외 수요 위축"

KDI 경제동향 9월호, 반년째 한국경제 '부진' 판단내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4월 이후 6개월째 경기부진 판단을 내렸다. 소비 및 투자와 수출 등 대내·외 수요 위축이 경기를 전반적으로 끌어내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는 8일 내놓은 경제동향 9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내외 수요가 위축되며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KDI는 지난해 11월부터 올 3월까지 경기 상황에 대해 '둔화'라고 진단했으며, 지난 4월부터 '부진'이라고 판단했다.

먼저 7월 전산업생산은 0.5%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이는 조업일수가 하루 늘어난 영향이라고 KDI는 설명했다. 제조업 재고율은 115.2%로 높은 수준에 머무르며 생산 증가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KDI는 이에 대해 "7월 생산 확대가 조업일수 증가에 주로 기인했다는 점에서 경기 부진이 완화된 것으로 해석하기 어렵다"고 부연했다.

소비와 투자, 수출은 모두 부진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같은 달 소매판매액은 1년 전보다 0.3% 줄어들었다. 8월 소비자물가는 0.0% 상승률을 기록해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근원물가 상승률은 0.8%였다. 다만 KDI는 수요 위축에 공급 기저효과가 더해진 결과로, 올해 말이면 일시적 요인이 소멸해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7월 설비투자는 1년 전과 비교해 4.7% 감소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기계류(5.8%), 운송장비(1.8%)는 물론 특수산업용기계(-16.2%)에서 감소세가 이어졌다.

8월 수출은 1년 전보다 13.6% 수준으로 큰 폭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30.7%)와 석유화학(-19.2%), 석유제품(-14.1%) 등에서 부진한 모습이 두드러졌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누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5%를 기록했다. 이는 1965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저치를 의미한다. 연합뉴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누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5%를 기록했다. 이는 1965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최저치를 의미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